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ISC, 흔들리는 과학신뢰...“글로벌 위기 극복 위해 과학외교로 돌파해야”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국제과학협의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5-03-27
  • 등록일 2025-04-14
  • 권호 284
○ 과학 불신과 정치 갈등으로 글로벌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세계적 차원에서 과학 외교의 핵심적 역할 부각
- 과학 불신, 극단적 정치화, 정보 환경 왜곡, 포퓰리즘 등이 결합해 과학에 대한 신뢰와 활용도가 저하되며 특히 민주주의 국가에서 과학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
- 많은 국가들이 경제·안보를 우선시하며 세계 공공재 대응이 약화되고, 다자 체제가 복잡한 세계 정세와 기술 발전 속도를 반영하지 못하면서 과학 외교의 실질적 활용에 위기
- 단기적 이익과 정치적 갈등을 넘어, 국가 간 협력을 촉진하고 과학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새로운 사회적 계약*’과 ‘2단계 과학 외교(Track 2)**’ 강화가 필요
* “과학은 진리를 제공하고, 사회는 이를 수용한다”는 기존의 일방적·후견적 구조에서, 상호 신뢰와 책임을 기반으로 과학과 사회가 협력하는 새 관계 모델
** 정부 간 공식 협상이나 외교활동(Track 1)이 아닌 학계·시민사회·NGO·전문가 집단 등 비공식적이고 유연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외교 혹은 대화·협력 활동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