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연구 개발 부감보고서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24)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4-01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의 글로벌한 사회적 과제, 경제적 과제를 정리하고 주요국의 과학기술정책동향과 사회와의 관계, 최첨단 연구개발 동향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사회적 영향, 새로운 기술, 기반기술 등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찰과 벤치마킹이 필요한 분야로 30개 분야*를 추출하고 각 분야에 대해 상세히 기술
* 건강・의료: 저분자, 중분자, 고분자 신약 제조, AI 신약 제조, 유전자 치료, 게놈 의료, AI 진단 및 예방 등 15개 분야 / 식품・바이오 생산: 미생물 제조, 농업 엔지니어링, 식물생식 등 5개 분야 / 기초・기반기술: 유전자 발현기구, 마이크로바이옴, 단백질설계 등 10개 분야
○ 향후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구개발의 방향성
- 개별 예측적 의료 및 헬스케어 실현(디지털헬스케어 개발, 감염증 연구의 지속적 추진 등)
- 다양한 신약 제조 모달리티 개척 및 창출(신약 제조 모달리티 기술 발전 및 융합, 신약제조 프로세스 관련 기술 개발 등)
- 농업 및 식품, 바이오 생산의 지속자능성 제고(네이처 포지티브한 연구개발 추진, 환경부하 감소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 활용 등)
- 첨단계측기술, 바이오테크놀로지 개발(오믹스, 이미징 등 첨단계측기술 개발, AI를 포함한 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응용분야로의 발전 등)
- 생명현상의 통합적 이해 및 메커니즘 규명(세포, 조직, 장기 관련, 생명시스템 관련, 다양한 생물 연구 등)
- 사회적 영향, 새로운 기술, 기반기술 등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찰과 벤치마킹이 필요한 분야로 30개 분야*를 추출하고 각 분야에 대해 상세히 기술
* 건강・의료: 저분자, 중분자, 고분자 신약 제조, AI 신약 제조, 유전자 치료, 게놈 의료, AI 진단 및 예방 등 15개 분야 / 식품・바이오 생산: 미생물 제조, 농업 엔지니어링, 식물생식 등 5개 분야 / 기초・기반기술: 유전자 발현기구, 마이크로바이옴, 단백질설계 등 10개 분야
○ 향후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구개발의 방향성
- 개별 예측적 의료 및 헬스케어 실현(디지털헬스케어 개발, 감염증 연구의 지속적 추진 등)
- 다양한 신약 제조 모달리티 개척 및 창출(신약 제조 모달리티 기술 발전 및 융합, 신약제조 프로세스 관련 기술 개발 등)
- 농업 및 식품, 바이오 생산의 지속자능성 제고(네이처 포지티브한 연구개발 추진, 환경부하 감소기술 개발,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 활용 등)
- 첨단계측기술, 바이오테크놀로지 개발(오믹스, 이미징 등 첨단계측기술 개발, AI를 포함한 데이터 분석기술 개발, 응용분야로의 발전 등)
- 생명현상의 통합적 이해 및 메커니즘 규명(세포, 조직, 장기 관련, 생명시스템 관련, 다양한 생물 연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