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인공지능 연구의 새로운 흐름 2025 ~기반모델·생성형 AI의 영향 및 과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4-01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인공지능(AI)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여 AI 기술의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고, 일본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전략제안과 관련된 연구개발분야의 동향을 정리한 보고서 발표
- 본 보고서는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장에서는 기반모델·생성형 AI의 영향을 고려한 연구개발동향 및 전략을 제안하고, 「AI 기본 원리의 발전」, 「AI 리스크에 대한 대응」, 「AI×○○」와 같은 세 가지 항목으로 정리했으며, 2장에서는 이와 관련이 깊은 13개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상세 동향 및 국가간 비교 제시
- AI기술은 미국과 중국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가 산업 및 과학의 국제경쟁력, 경제안보면에서 필수불가결한 기술로 일본 또한 전략적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본 보고서에서는 차세대 AI모델, 신뢰성 높은 AI, AI for Science와 같은 관점에서 가능성을 모색
○ AI 기본원리의 발전
- AI 기술의 새로운 고정밀화·고성능화의 흐름에 따른 것으로 현재의 기반모델·생성형 AI는 높은 정밀도·범용성·멀티모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자원의 효율성, 논리성·정확성, 실제 세계에서의 조작(신체성), 안전성·신뢰성 등 측면에서 과제를 안고 있으며, 어떠한 원리로 높은 응답 성능 및 영리한 행동을 할 수 있는지 그 메카니즘은 밝혀지지 않음
- 이에 따라 기반모델·생성형 AI의 메카니즘 규명 및 상기 과제의 극복을 목표로 한 「차세대 AI모델」의 연구개발 추진 중
○ AI 리스크에 대한 대응
- AI와 사회와의 관계가 확대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정밀도·성능 향상과는 다른 유형의 연구개발
- AI 기술의 응용 확대·보급에 따라 AI 블랙박스 문제, 편견 및 취약성, 위조 문제 등이 표면화되었으며, 인간에 의한 것과 구별할 수 없는 응답 및 출력을 제시하는 생성형 AI가 등장하여 악용·오용의 우려가 크게 높아지고, 인간의 인지·사고 및 사회·문화에 대한 영향도 우려되어 여러 측면에서 AI 리스크가 심화
- 따라서 사회로부터의 요청을 충족하는 신뢰성 높은 AI의 연구개발에서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대응 또한 시급
○ AI X ○○
- 사회·산업·과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스 변혁을 창출하는 AI 활용기술·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개발로 특히 AI for Science가 주목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