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해양 경제 2050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OECD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31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OECD는 해양 경제가 어떻게 발전해왔고 앞으로 무엇이 놓여있는지에 관한 데이터와 통찰력을 제공하는 보고서, '해양 경제 2050(The Ocean Economy to 2050)' 발간
○ 기후 변화, 환경 파괴, 생산성 저하, 더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와 경제적 잠재력에 대한 압박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 경제의 활성화와 환경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바다는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권(biosphere)의 90%를 구성하고, 30억 이상의 인구에 식량 안보를 보장하며, 전 세계 상품의 80% 이상을 운송하고, 인터넷 트래픽의 98%를 책임지는 해저 케이블이 자리한 장소임
- 해양 경제는 전 세계 총 부가가치의 약 3-4%를 기여하고 있으며, 1억 3300만 명의 고용(FTE)을 창출하는 주요한 경제 분야임
- 1995년부터 2020년까지 해양 경제 성장의 75%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유럽과 북미는 상대적으로 더딘 성장세를 보임
○ 기존의 추세에 의하면 2050년 해양 경제 규모는 1995년의 4배 가까이 커질 수 있으나, 다양한 저해 요인이 존재함
- 인구 증가, 기후 및 환경 변화, 무역 및 세계화, 에너지 전환, 기술 발전, 지정학적 역학 등이 해양 건전성 및 해양 경제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특히 생산성 하락 추세와 디지털 격차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 역시 해양 경제의 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해당 보고서는 생산적이며,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해양 경제를 위한 4가지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제시
- 1) 해양 거버넌스와 규제 프레임워크의 강화, 2) 기술 혁신과 디지털 전환 증진, 3) 해양 관측 데이터 수집과 과학 연구, 4) 개발도상국의 환경 위해를 줄인 해양 경제 참여 증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