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크게 주목받는 AI 거버넌스 ~유럽, 미국의 AI・디지털 동향의 고찰 및 시사~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종합연구소(JR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4-10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일본종합연구소는 AI의 상용화가 실현되고 있는 미국의 동향 및 AI 거버넌스 정책을 활용하는 기업의 선진사례, 일본 기업의 AI 활용을 위해 필요한 정책 등에 관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
- AI를 적극 활용하는 기업의 선진 사례를 통해 AI 거버넌스에 관한 주요 정책을 정리하면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AI 거버넌스 정비를 위해서는 특정 부서가 단일한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체 기업의 활동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
* ① AI 윤리, 설명가능성, 안전성 확보 ②규제 준수 ③AI 인재 강화 ④AI 관리체제 강화 ⑤데이터 정비 ⑥사이버 보안 대책
- AI의 법 규제에 관한 글로벌 동향에도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현재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행정부의 AI 안전성에 관한 새로운 기준 등 행정명령을 철회하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행정명령을 새롭게 발표하여 AI 개발에서의 안전성 담보가 기업의 자율성에 맡겨짐
- 미국의 연방 정부가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한편 주(state) 법에서는 새로운 규제 강화가 추진중이며, 유럽에서는 EU의 AI 규제법에 따라 글로벌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에 엄격한 리스크 관리 기준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AI 거버넌스 강화가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
- 일본 기업이 AI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글로벌 표준에 대응할 수 있는 AI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율적 판단에 맡기는 것 외에 기업의 인센티브가 작용하는 법 규제 및 AI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 제시 또한 필요
- AI를 적극 활용하는 기업의 선진 사례를 통해 AI 거버넌스에 관한 주요 정책을 정리하면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AI 거버넌스 정비를 위해서는 특정 부서가 단일한 정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체 기업의 활동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
* ① AI 윤리, 설명가능성, 안전성 확보 ②규제 준수 ③AI 인재 강화 ④AI 관리체제 강화 ⑤데이터 정비 ⑥사이버 보안 대책
- AI의 법 규제에 관한 글로벌 동향에도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데, 현재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바이든 전 행정부의 AI 안전성에 관한 새로운 기준 등 행정명령을 철회하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행정명령을 새롭게 발표하여 AI 개발에서의 안전성 담보가 기업의 자율성에 맡겨짐
- 미국의 연방 정부가 규제 완화를 추진하는 한편 주(state) 법에서는 새로운 규제 강화가 추진중이며, 유럽에서는 EU의 AI 규제법에 따라 글로벌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에 엄격한 리스크 관리 기준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AI 거버넌스 강화가 최우선 과제가 될 것으로 예상
- 일본 기업이 AI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글로벌 표준에 대응할 수 있는 AI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율적 판단에 맡기는 것 외에 기업의 인센티브가 작용하는 법 규제 및 AI 리스크를 평가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 제시 또한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