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차세대 의료 실현을 위한 기반 형성의 향후 방향성(안)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3-26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문부과학성 차세대 의료 실현을 위한 기반 형성에 관한 검토회의는 3.26 개최된 1회 회의에서 차세대 의료 실현 기반 구축 관련 향후 방향성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일본 및 글로벌 동향
- 세계 각국의 바이오뱅크에서는 수십만 명 이상의 대규모 전체 게놈 분석이 추진되고 있으며 오믹스 및 임상 정보 등 데이터도 증가
- 최근 게놈 정보를 활용한 신약 개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치료제가 출시되고 있으며, 바이오뱅크도 활용되어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UK 바이오뱅크 등 데이터에서 발견된 치료 표적에 대한 신약 개발 연구도 추진 중
- 게놈의료 실현 바이오뱅크 활용 프로그램(B-Cure)등에서 일반 주민·질환 바이오뱅크 구축 및 활용을 추진중이며, 첨단 게놈 연구개발 등을 통해 동아시아인의 특징을 고려하여 중증화 여부를 알 수 있는 바이오 마커 등의 발견 및 활용 등 추진 중
○ 향후 방향성
- (바이오뱅크 활용 촉진을 위한 대응) △일본 내 바이오뱅크의 연계를 강화하고, 특히 질환 바이오뱅크와 일반 국민 바이오뱅크의 연계를 강화 △여러 바이오뱅크간 데이터 활용을 추진하기 위해 각각이 보유한 시료·정보를 일괄적으로 신청·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분석 프로토콜의 통일, 분석 데이터의 표준화 추진
- (코호트 조사) △일본이 독자성을 지니는 3세대 코호트 등에 대한 코호트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강화하면서 추적 조사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대응 추진△연구 참가자에 대한 재조사가 가능한 코호트를 검토 △질환 코호트에서는 라이프 스테이지를 고려한 복합 질환적 분석을 가능케 하는 코호트 강화를 검토
- (시료・정보의 정비) 사용자의 수요에 대응한 오믹스 정보 등 다층적인 시료 및 정보 수집을 강화하고, 특히 일반 국민 바이오뱅크에서 임상 정보·건강 정보 강화
○ 일본 및 글로벌 동향
- 세계 각국의 바이오뱅크에서는 수십만 명 이상의 대규모 전체 게놈 분석이 추진되고 있으며 오믹스 및 임상 정보 등 데이터도 증가
- 최근 게놈 정보를 활용한 신약 개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치료제가 출시되고 있으며, 바이오뱅크도 활용되어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UK 바이오뱅크 등 데이터에서 발견된 치료 표적에 대한 신약 개발 연구도 추진 중
- 게놈의료 실현 바이오뱅크 활용 프로그램(B-Cure)등에서 일반 주민·질환 바이오뱅크 구축 및 활용을 추진중이며, 첨단 게놈 연구개발 등을 통해 동아시아인의 특징을 고려하여 중증화 여부를 알 수 있는 바이오 마커 등의 발견 및 활용 등 추진 중
○ 향후 방향성
- (바이오뱅크 활용 촉진을 위한 대응) △일본 내 바이오뱅크의 연계를 강화하고, 특히 질환 바이오뱅크와 일반 국민 바이오뱅크의 연계를 강화 △여러 바이오뱅크간 데이터 활용을 추진하기 위해 각각이 보유한 시료·정보를 일괄적으로 신청·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분석 프로토콜의 통일, 분석 데이터의 표준화 추진
- (코호트 조사) △일본이 독자성을 지니는 3세대 코호트 등에 대한 코호트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강화하면서 추적 조사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대응 추진△연구 참가자에 대한 재조사가 가능한 코호트를 검토 △질환 코호트에서는 라이프 스테이지를 고려한 복합 질환적 분석을 가능케 하는 코호트 강화를 검토
- (시료・정보의 정비) 사용자의 수요에 대응한 오믹스 정보 등 다층적인 시료 및 정보 수집을 강화하고, 특히 일반 국민 바이오뱅크에서 임상 정보·건강 정보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