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정책으로 본 양자기술의 미래 ~향후 수년간 승부가 갈리는 일본의 기술 정책~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딜로이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4-12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딜로이트는 일본 정부의 양자기술정책, 양자산업 창출을 위한 방침, 양자기술산업의 창출을 위한 과제 및 대응, 양자기술혁신 거점, 양자기술 관련 사업 등 양자기술을 정책적 관점에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일본 정부는 '16년부터 '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양자기술을 '새로운 가치창출의 핵심이 되는 강점을 지닌 기반기술'로 규정하였으며, 「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에서는 「양자컴퓨터·양자 시뮬레이션」 「양자 계측·센싱」 「양자 통신·암호」 「양자 물질(양자 물성·재료)」을 주요 기술 분야로 지정하고 양자 기술을 「사회경제 및 안보상 국가전략」으로 규정
- '22년 양자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미래사회비전이 제시되었으며, 그 실현을 위한 응용 연구, 상용화에 이르는 일련의 방침 및 전략 수립
- 일본 정부는 '30년까지 일본 내 양자기술 사용자 1,000만명, 양자기술에 의한 생산액 50조엔, 일본 유니콘 기업 3개 창출과 같은 목표 제시
- 최근의 기술혁신 및 경제안보의 관점에서의 관심 증가 등 양자기술을 둘러싼 세계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4.4에는 '양자산업의 창출·발전을 위한 추진방안'을 공표하고, 현재 난항을 겪고 있는 기술과 사업상 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 제시
- 일본 정부의 양자기술정책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처는 정책의 통합 및 조율을 담당하는 내각부, 기초연구추진과 인재 육성을 담당하는 문부과학성, 산업 응용 및 협력을 담당하는 경제산업성이며, 기존의 암호기술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양자암호통신의 연구·개발은 총무성이 추진하고 있으나, 양자기술이 사회 경제의 폭넓은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는 만큼 다른 부처도 관여하게 될 가능성이 높음.
- 내각부에 따르면 정부 전체의 양자 관련 사업 예산은 '23년 예산안 및 추경을 합해 약 800억 엔이었으나, '24년은 1,003억 엔(예산안 368억 엔, 추경 635억 엔)으로 확대
- 일본 정부는 '16년부터 '5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양자기술을 '새로운 가치창출의 핵심이 되는 강점을 지닌 기반기술'로 규정하였으며, 「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에서는 「양자컴퓨터·양자 시뮬레이션」 「양자 계측·센싱」 「양자 통신·암호」 「양자 물질(양자 물성·재료)」을 주요 기술 분야로 지정하고 양자 기술을 「사회경제 및 안보상 국가전략」으로 규정
- '22년 양자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미래사회비전이 제시되었으며, 그 실현을 위한 응용 연구, 상용화에 이르는 일련의 방침 및 전략 수립
- 일본 정부는 '30년까지 일본 내 양자기술 사용자 1,000만명, 양자기술에 의한 생산액 50조엔, 일본 유니콘 기업 3개 창출과 같은 목표 제시
- 최근의 기술혁신 및 경제안보의 관점에서의 관심 증가 등 양자기술을 둘러싼 세계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4.4에는 '양자산업의 창출·발전을 위한 추진방안'을 공표하고, 현재 난항을 겪고 있는 기술과 사업상 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 제시
- 일본 정부의 양자기술정책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부처는 정책의 통합 및 조율을 담당하는 내각부, 기초연구추진과 인재 육성을 담당하는 문부과학성, 산업 응용 및 협력을 담당하는 경제산업성이며, 기존의 암호기술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양자암호통신의 연구·개발은 총무성이 추진하고 있으나, 양자기술이 사회 경제의 폭넓은 분야에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는 만큼 다른 부처도 관여하게 될 가능성이 높음.
- 내각부에 따르면 정부 전체의 양자 관련 사업 예산은 '23년 예산안 및 추경을 합해 약 800억 엔이었으나, '24년은 1,003억 엔(예산안 368억 엔, 추경 635억 엔)으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