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특허정보를 활용한 대학 등의 기업협력촉진 조사사업 조사보고서/대학을 위한 기업협력제안 매뉴얼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공업소유권정보연수관(INPIT)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4-11
- 등록일 2025-04-18
- 권호 285
○ 공업소유권정보연수관은 12개 대학의 연구 시드(기술)을 대상으로 기업협력 제안을 지원하는 실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보고서 및 기업협력제안 매뉴얼을 발표
○ 작성배경 및 목적
- 본 조사 사업은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고등전문대학의 연구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업과의 연계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협력 후보 기업의 탐색·선정 및 효과적 연계 제안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체계화하여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
- 기존 대학 등의 연구 시드와 기업의 매칭은 학회 및 전시회, 인맥에 의존하고 있어 전략적 기업 탐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기업에 대한 협력 제안도 기술의 소개에 그쳐 사업화를 고려한 제안이 부족한 점이 과제로 지적되어 왔음
- 동 조사 사업에서는 특허 정보를 활용한 데이터에 근거한 객관적인 기업 탐색과 가치 창조를 시야에 넣은 협력 제안을 조합함으로써 대학 등과 기업의 보다 효과적인 연계를 촉진하는 방법을 검증
○ 주요 성과 및 과제
- (STEP 1 : 연계 후보기업 탐색 및 선정) 연계 수요 청취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언어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특허 정보를 기점으로 한 연계 후보 기업을 발굴하는 방법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음.
- (STEP 2 : 연계 후보기업에 제안) IR정보 등을 활용하여 상대 기업의 사업방침 및 조직체제를 바탕으로 공동창조가치 및 시간축을 심도 있게 발굴한 스토리를 구축함으로써 상대방이 수용할 수 있는 제안을 신속하게 제시할 수 있었음.
- (과제 ①) 과거에 특허출원을 했으나 이미 철수한 경우 및 사업화에 적극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허 외 공개 정보를 포함한 다면적 분석이 필수적이나, 현재는 경험이 있는 연구 지원자가 적고 자원도 노하우도 부족
- (과제 ②) 제안한 기업으로부터 반응은 있었으나 구체적 연계에 이르지 못했다는 의견이 많았으므로, 앞으로는 연구 시드의 성숙도및 사업화까지의 시간 등에 의해 기업측에 제시하는 사업모델을 다양화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
○ 작성배경 및 목적
- 본 조사 사업은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고등전문대학의 연구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업과의 연계를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협력 후보 기업의 탐색·선정 및 효과적 연계 제안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체계화하여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
- 기존 대학 등의 연구 시드와 기업의 매칭은 학회 및 전시회, 인맥에 의존하고 있어 전략적 기업 탐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기업에 대한 협력 제안도 기술의 소개에 그쳐 사업화를 고려한 제안이 부족한 점이 과제로 지적되어 왔음
- 동 조사 사업에서는 특허 정보를 활용한 데이터에 근거한 객관적인 기업 탐색과 가치 창조를 시야에 넣은 협력 제안을 조합함으로써 대학 등과 기업의 보다 효과적인 연계를 촉진하는 방법을 검증
○ 주요 성과 및 과제
- (STEP 1 : 연계 후보기업 탐색 및 선정) 연계 수요 청취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언어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특허 정보를 기점으로 한 연계 후보 기업을 발굴하는 방법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음.
- (STEP 2 : 연계 후보기업에 제안) IR정보 등을 활용하여 상대 기업의 사업방침 및 조직체제를 바탕으로 공동창조가치 및 시간축을 심도 있게 발굴한 스토리를 구축함으로써 상대방이 수용할 수 있는 제안을 신속하게 제시할 수 있었음.
- (과제 ①) 과거에 특허출원을 했으나 이미 철수한 경우 및 사업화에 적극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특허 외 공개 정보를 포함한 다면적 분석이 필수적이나, 현재는 경험이 있는 연구 지원자가 적고 자원도 노하우도 부족
- (과제 ②) 제안한 기업으로부터 반응은 있었으나 구체적 연계에 이르지 못했다는 의견이 많았으므로, 앞으로는 연구 시드의 성숙도및 사업화까지의 시간 등에 의해 기업측에 제시하는 사업모델을 다양화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