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오픈엑세스 관련 해외동향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국립정보학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5-09
  • 등록일 2025-05-19
  • 권호 287
○ 대학공동이용기관법인 정보·시스템연구기구 국립정보학연구소는 이탈리아와 일본을 제외한 G7국가 및 EU, 호주, 브라질, 인도의 오픈액세스 관련 정책 동향 등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미국
-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은 '22년 정책지침을 제시하고 연방정부기관에 대해 '25년부터 즉시 오픈액세스(OA)를 의무화
- OSTP의 '24년 보고서에서는 학술 출판의 급속한 상황 변화를 감시하는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해 지적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23.2월 Public Access Plan 2.0을 발표하였으며, 국립보건원(NIH)은 '24.12월 NIH Public Access Policy를 발표(모두 '25년 중 즉시 OA에 대응)
○ EU
- '18년 cOalition S를 발족시키고 '21년 이후 즉시 전체 OA의 Plan S 원칙을 발표
- '24.10월 Plan S의 영향(성과 및 과제)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21년에 도입된 OA 출판 플랫폼 ORE의 발전을 위해 '24.9월 새롭게 10대 방침을 담은 'ORE:공동 OA 출판 서비스를 위하여' 발표
○ 호주
- 국가에 의한 통일된 방침은 없으나 주요 FA 및 대학 등의 정책에 따라 OA 추진중
- 호주 연구위원회(ARC)에서 자금을 제공받은 연구성과물은 '13년 이후 12개월 이내 OA 의무화
- 호주 국립보건의학연구위원회(NHMRC)의 자금을 받은 출판물은 '22.9월 이후 즉시 OA 의무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