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무인항공기 상용화를 위한 경제산업성의 대응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5-09
- 등록일 2025-05-19
- 권호 287
○ 경제산업성 무인기 산업기반강화 검토회는 5월 9일 개최된 1회 회의에서 무인항공기(UAS)의 상용화를 위한 경제산업성의 대응 현황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민생 용도의 무인항공기 시장 규모(일본)는 '24년 4,700억엔, '28년 9,000억엔으로 전망되며, 현시점에서 주요 용도는 점검 등이나 장기적으로는 물류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전망
- 향후 5년간 자위대는 무인 장비의 정비에 약 1조 엔을 투입할 예정으로 연간 약 2,000억엔(UGV, USV, UUV 등도 포함)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군의 경우 '23~'25년 매년 평균 27억 달러를 UAV 조달에 투입
- 일본의 드론 활용은 '18.9월 레벨 3(무인지대에서의 비가시권 비행)의 개별 허가 요건이 명확히 제시되었으며, '22.12월 기체인증, 기능 증명을 받고, 운항 규칙을 준수하며 국토교통대신의 허가·승인을 받을 경우 레벨4 비행이 가능하도록 조치
○ 일본 무인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 현재 일본에서는 산업용 무인기의 기체 개발 및 민간 수요 양쪽에서 중요성이 높아지는 비행제어기술의 연구 개발 등에 투자하고 있으나 일본 업체에서 본격적인 양산 체제는 갖추어지지 않음
- 물류 분야에서는 주로 기체 비용 등이 낮아지지 않을 경우 사업성이 없다는 실증 결과가 있는 등 시장 창출과 양산체제 확립을 통한 비용 절감이 필수불가결
- 안정적 공급 확보의 관점에서는 중요 부품의 공급망 강인화를 위한 대응도 필요
- 「하늘의 산업혁명을 향한 로드맵 2024」에서는 상용화를 기점으로 필요한 환경 정비·기술 개발 관련 대응을 검토해 왔으며, 앞으로는 이와 함께 '산업기반'의 관점에서 양산체제 확립과 공급망 강인화를 위해 필요한 대응에 대해 검토하여 일본 내 산업 육성을 목표로 추진 필요
- 민생 용도의 무인항공기 시장 규모(일본)는 '24년 4,700억엔, '28년 9,000억엔으로 전망되며, 현시점에서 주요 용도는 점검 등이나 장기적으로는 물류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전망
- 향후 5년간 자위대는 무인 장비의 정비에 약 1조 엔을 투입할 예정으로 연간 약 2,000억엔(UGV, USV, UUV 등도 포함)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군의 경우 '23~'25년 매년 평균 27억 달러를 UAV 조달에 투입
- 일본의 드론 활용은 '18.9월 레벨 3(무인지대에서의 비가시권 비행)의 개별 허가 요건이 명확히 제시되었으며, '22.12월 기체인증, 기능 증명을 받고, 운항 규칙을 준수하며 국토교통대신의 허가·승인을 받을 경우 레벨4 비행이 가능하도록 조치
○ 일본 무인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
- 현재 일본에서는 산업용 무인기의 기체 개발 및 민간 수요 양쪽에서 중요성이 높아지는 비행제어기술의 연구 개발 등에 투자하고 있으나 일본 업체에서 본격적인 양산 체제는 갖추어지지 않음
- 물류 분야에서는 주로 기체 비용 등이 낮아지지 않을 경우 사업성이 없다는 실증 결과가 있는 등 시장 창출과 양산체제 확립을 통한 비용 절감이 필수불가결
- 안정적 공급 확보의 관점에서는 중요 부품의 공급망 강인화를 위한 대응도 필요
- 「하늘의 산업혁명을 향한 로드맵 2024」에서는 상용화를 기점으로 필요한 환경 정비·기술 개발 관련 대응을 검토해 왔으며, 앞으로는 이와 함께 '산업기반'의 관점에서 양산체제 확립과 공급망 강인화를 위해 필요한 대응에 대해 검토하여 일본 내 산업 육성을 목표로 추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