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효과적인 에너지 전환 촉진 보고서 2025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WE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6-18
- 등록일 2025-06-27
- 권호 290
○ ETI(에너지 전환 지수)는 시스템 성과와 전환 준비도의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118개 국가의 변화하는 에너지 환경에 대한 대응을 평가하는 데이터 기반 프레임워크를 제공함
○ 2024년, AI 중심 전력 수요 증가로 에너지 수요가 급등했으며(+2.2%), 재생에너지의 확장과 효율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CO₂ 배출이 378억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음
- 청정에너지 투자가 2조 달러를 돌파했지만, 2030년까지 매년 요구되는 5.6조 달러엔 미달이며 투자 증가율도 둔화 추세임
○ 2025년 ETI (Energy Transition Index) 점수는 평균 1.1%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3년 평균 상승률의 두 배를 넘는 수치이기에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함
- ETI 상위 20개국 중 16개국이 선진국이었으며, 신흥 유럽과 신흥 아시아가 2025년 가장 큰 진전을 보인 지역이었음
- 하지만 2024년 2조 달러 이상의 에너지 투자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안보 정체와 사상 최고치의 온실가스가 배출되었으며, 이는 탄력적인 전력망, 디지털 인프라 개선, 목표 지향적인 자본 흐름이 필요함을 의미함
○ 향후 5대 우선 과제
1) 유연하고 안정적인 정책 체계를 구축하여 장기 자본 유치와 협력을 촉진
2) 전력망, 저장장치, 연결망과 관련된 에너지 인프라를 현대화
3) 숙련된 인력에 대한 투자를 통해 실행력과 혁신을 촉진
4) 감축이 어려운 산업 부문에서 청정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
5)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공정하고 글로벌한 전환을 보장
○ 2024년, AI 중심 전력 수요 증가로 에너지 수요가 급등했으며(+2.2%), 재생에너지의 확장과 효율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CO₂ 배출이 378억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음
- 청정에너지 투자가 2조 달러를 돌파했지만, 2030년까지 매년 요구되는 5.6조 달러엔 미달이며 투자 증가율도 둔화 추세임
○ 2025년 ETI (Energy Transition Index) 점수는 평균 1.1% 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3년 평균 상승률의 두 배를 넘는 수치이기에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시사함
- ETI 상위 20개국 중 16개국이 선진국이었으며, 신흥 유럽과 신흥 아시아가 2025년 가장 큰 진전을 보인 지역이었음
- 하지만 2024년 2조 달러 이상의 에너지 투자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안보 정체와 사상 최고치의 온실가스가 배출되었으며, 이는 탄력적인 전력망, 디지털 인프라 개선, 목표 지향적인 자본 흐름이 필요함을 의미함
○ 향후 5대 우선 과제
1) 유연하고 안정적인 정책 체계를 구축하여 장기 자본 유치와 협력을 촉진
2) 전력망, 저장장치, 연결망과 관련된 에너지 인프라를 현대화
3) 숙련된 인력에 대한 투자를 통해 실행력과 혁신을 촉진
4) 감축이 어려운 산업 부문에서 청정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
5)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공정하고 글로벌한 전환을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