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생명공학 프런티어 확보 : 팬데믹 이후 미국 생물방위 강화를 위한 세 가지 기술적 개입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벨퍼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7-04
  • 등록일 2025-07-11
  • 권호 291
○ 하버드 케네디스쿨 벨퍼센터 산하 '국방, 신흥기술 및 전략 프로그램(Defense, Emerging Technology, and Strategy Program)'에서 미국 생물방위 체계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기술 기반의 전략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보고서를 발표
○ 코로나19 팬데믹은 자연 감염병이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인적·경제적 비용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 그 이후 관심의 초점은 인위적 팬데믹(engineered pandemics)의 가능성으로 옮겨가고 있음
- 생명공학의 발전 속도는 기존 규제 체계를 초월하고 있으며, 우리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생물보안 거버넌스를 재정의해야 할 중대한 기로에 놓여 있다. 이 선택은 향후 위협 대응 능력은 물론, 생명공학이 인류에 공헌할 수 있는 가능성 자체를 형성하게 될 것임
○ 팬데믹은 생물학 연구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책적 접근 방식에 근본적 전환을 야기함
- SARS-CoV-2의 기원 규명은 여전히 과학적으로 중요하지만, 보고서는 실험실 유출의 가능성 그 자체만으로도 미국의 바이오안보 체계에 구조적 취약성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강력한 경고로 간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로 인해 생물학 연구와 기술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전반의 재설계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동 보고서는 생물학적 위헙에 대한 미국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고 최첨단 생명공학기술을 안전하게 개발하고 배포하기 위한 3개의 목표 기술 개입을 제안함
- 1) DNA 합성 스크리닝 및 검증 강화 : 모든 DNA 합성주문에 대해 포괄적인 연방 스크리닝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 프레임워크의 강화
- 2) 첨단 병원체 조기경보 시스템 : 초기에 더 안정적으로 생물학적 위험을 감시할 수 있는 첨단 감시기술과 통합된 데이터 플랫폼 배치
- 3) 유전공학 감지 및 귀속기능 개선 : 병원체가 조작되었는지 잠재적으로 특정 실험실까지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포렌직 역량을 개발하기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