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로켓의 재사용화 기술 관련 세계 동향 및 JAXA의 대응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7-04
- 등록일 2025-07-11
- 권호 291
○ 문부과학성 우주개발이용WG는 7.4 개최된 97회 회의에서 로켓의 재사용화기술 관련 세계 동향 및 JAXA의 대응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로켓 재사용화기술 관련 세계 동향
1) 미국 SpaceX
- Falcon 9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있어 '24년 1년간 132회 발사(Falcon Heavy 미포함)했으며, 총 5대의 1단 로켓을 새로 제조
- '25. 3.4 현재 1단 로켓의 재사용 횟수는 26회에 달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의 중심은 Starship / Super Heavy로 이행되었을 것으로 예상
2) 미국 Blue Origin
- '25.1.16 New Glenn을 최초로 발사하고 발사 및 2단 궤도 투입에 성공했으나, 1단의 회수는 실패
3) 중국 Land Space
- '24.9.11 '주작3호(Zhuque-3)' 실험기로 엔진 재점화를 포함하여 고도 10km의 수직 이착륙에 성공
- 엔진은 액체산소/메탄을 연료로 하는 추력(thrust) 80톤급
- 유도제어기술 등의 상세한 기술 수준은 알 수 없으나, 꾸준히 비행시험 실시중
○ JAXA의 대응
- 우주기본계획('23.6)에 "차기 기간로켓에서는 기체의 일부를 재사용화한 다음 발사 빈도 및 수송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발사 가격을 낮추고, 향후 산학관이 협력하여 완전 재사용화 및 유인 수송에도 대응할 수 있는 확장성 실현 기대"라고 명시
- 기체의 재사용화 관련 기반기술연구로서 높은 고도(약 100km)로부터의 귀환 기술, 고성능, 경량화, 저비용 기술, 재정비 효율화 기술 등 개발중
○ 로켓 재사용화기술 관련 세계 동향
1) 미국 SpaceX
- Falcon 9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있어 '24년 1년간 132회 발사(Falcon Heavy 미포함)했으며, 총 5대의 1단 로켓을 새로 제조
- '25. 3.4 현재 1단 로켓의 재사용 횟수는 26회에 달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의 중심은 Starship / Super Heavy로 이행되었을 것으로 예상
2) 미국 Blue Origin
- '25.1.16 New Glenn을 최초로 발사하고 발사 및 2단 궤도 투입에 성공했으나, 1단의 회수는 실패
3) 중국 Land Space
- '24.9.11 '주작3호(Zhuque-3)' 실험기로 엔진 재점화를 포함하여 고도 10km의 수직 이착륙에 성공
- 엔진은 액체산소/메탄을 연료로 하는 추력(thrust) 80톤급
- 유도제어기술 등의 상세한 기술 수준은 알 수 없으나, 꾸준히 비행시험 실시중
○ JAXA의 대응
- 우주기본계획('23.6)에 "차기 기간로켓에서는 기체의 일부를 재사용화한 다음 발사 빈도 및 수송 능력을 향상시키면서 발사 가격을 낮추고, 향후 산학관이 협력하여 완전 재사용화 및 유인 수송에도 대응할 수 있는 확장성 실현 기대"라고 명시
- 기체의 재사용화 관련 기반기술연구로서 높은 고도(약 100km)로부터의 귀환 기술, 고성능, 경량화, 저비용 기술, 재정비 효율화 기술 등 개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