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미국 농촌에서의 제조업 : K-12와 산업계 파트너십을 위한 계획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McKinsey & Company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08-05
  • 등록일 2025-08-15
  • 권호 293
○ 맥킨지는 미국 경제의 회복력 강화와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첨단 제조업 투자 확대로 인한 농촌 지역의 기회와 인력 수급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K–12 학교와 산업계가 협력하는 실행 전략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표
○ 팬데믹, 지정학적 변화, AI 기술 경쟁 심화로 인해 미국 기업들은 리쇼어링(국내 복귀)과 공급망 회복력 강화에 투자하고 있으며, 지난 5년간 첨단 제조업 분야에 수천억 달러가 유입
- 발표된 1조 달러 규모의 첨단 제조업 프로젝트 중 약 63%가 농촌 지역 인근에 위치하며, 이는 농촌 지역 고숙련 제조 인력 수요를 급격히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
- 기업과 정부의 리쇼어링 추진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데 있어 K-12 학교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
○ 농촌 공동체는 이러한 첨단제조 투자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음
- 청정기술, 반도체, 전자 및 바이오제조와 같은 전략적 분야에서 발표된 1조 달러 규모의 투자를 분석한 결과, 약 63%가 농촌 지역에서 통근 가능한 거리에 위치할 것으로 나타남
- 지역 내에서 잘 준비된 인력을 채용하는 제조기업은 인력 이탈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 그러나 이러한 투자는 2030년까지 미국에서 약 210만 명의 제조 인력 부족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
- 산업계 전문가와 제조기업들은 첨단 제조업 경력에 필요한 기초 학력(읽기·쓰기·수학·비판적 사고)과 기술 역량(로봇, STEM) 및 지속 가능한 직무 역량(문제 해결 등)을 학생들이 함께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함
- 산업계와 학교 간의 협력 한계에도 불구하고, K–12 학교는 학생들이 제조업 경력을 준비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
○ 맥킨지는 농촌 지역의 새로운 제조업 시대를 열기 위해 다음 두 가지 핵심 조치를 권고
(1) 학생들에게 핵심 읽기, 쓰기, 수학,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초 교육에 재집중할 것
(2) 고등학교–고등 교육 이후–직장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양질의 증거 기반 진로 연계 학습을 도입·확대할 것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