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로봇산업비전 2050」 Ver.1.0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로봇공업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8-08
  • 등록일 2025-08-15
  • 권호 293
○ 일본로봇공업회는 '50년의 ‘바람직한 모습’을 기준으로 역산하여 로봇산업의 방향성을 담은 「로봇산업비전 2050」 Ver.1.0을 발표
○ 로봇산업의 기여 방향
① 스마트 프로덕션 (지속가능한 산업)
- (안전하고 효율적인 협동 작업과 역할 분담) 로봇이 사람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고 두려움을 주지 않는 동작을 생성하며, 작업자의 특성에 맞춘 안전한 제어를 적용하여 효율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달성
- (누구나, 어디에서나 사용가능한 AI로봇) 원격조작형 로봇의 확대로 물리적 거리, 육아·간병, 질병과 같은 장벽을 낮추어 제한된 노동력의 효율적 활용과 생산성 극대화 추진(서로 다른 작업거점에서의 멀티 팩토리 매뉴팩처링 등)
- (인간의 심신 상태 변화 감지 및 커뮤니케이션 창출) 로봇이 센서와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해 노동자의 심신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개선을 제안하며, 로봇이 커뮤니케이션의 중개 역할을 맡아 새로운 직장 내 소통을 촉진
② 스마트 커뮤니티 (지속가능한 일상)
- (돌봄·육아·교육 등 전문 서비스) 환경과 개인의 상태에 맞춰 유연하게 적응하는 AI 로봇의 지원, 원격 대화 로봇을 통한 돌봄과 전문 지식 제공, AI 기술을 활용한 개별 최적화 학습 지원 등을 통해 양육자, 아동, 육아 지원자의 웰빙을 실현
- 그밖에 가사·청소 등 가정기능 대행, 신체적·시간적 제약을 초월한 활동 등
○ 로봇산업진흥전략
- (새로운 로봇사업 창출) 수요의 가시화 및 분석, 사용자 경험 피드백, 구독형 모델 및 성과보상형모델의 도입, 순환경제 실현, 기술과 비즈니스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사업모델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
- (전문인력육성) 로봇 크리에이터, 로봇 오퍼레이터, 로봇 비즈니스 프로듀서, 로봇 커뮤니케이터 등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 양성
- (표준화 전략) 사회수용성 확대, 신시장 창출,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필요한 기술적 사항과 안전 기준의 표준화 추진(산학관 협력)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