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14차 5개년 계획' 기간 디지털중국 발전 성과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신화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8-14
  • 등록일 2025-08-29
  • 권호 294
○ 국무원신문판공실 기자회견, ‘14차 5개년 계획' 기간 디지털중국 건설 발전 성과 발표
- 중국의 디지털 인프라는 규모, 기술 등에서 세계 선두지위 차지, 해시레이트 규모는 세계 2위 차지
- 올해 6월 말 기준, 5G 기지국은 455만개, 기가비트 광대역 인터넷 사용자는 2억 2,600만 가구 도달, 경제사회 발전을 강력하게 추진
- 발개위 등 3개 부처는 <국가 데이터 인프라 건설 지침>을 발표하고, 데이터 인프라 참조 아키텍처를 제정, 익명화 처리 등 9개의 주요 기술 규범을 제시
- ‘동서수산(东数西算)’공정 심층 실시해 지역 조율 발전 촉진
- 데이터 인프라의 상호연결 도시 수는 올해 말 50개로 확대, 80%의 성(자치구/시)에 배치
- 세계에서 규모가 최대이고 자원이 가장 풍부한 국가스마트교육플랫폼 구축
- 중앙기업이 신설한 디지털과학기술기업은 500개에 근접
- 국가데이터발전연구원의 통계결과, 2024년 전국적으로 데이터기업 수는 40만개 이상, 데이터 산업규모는 5조 8,600억 위안으로, ‘13차 5개년 계획’기간 말보다 117% 증가
- 중국의 인공지능 특허 수는 세계의 60% 차지
- 휴머노이드 로봇, 지능형 단말기 등 분야에서 꾸준히 획기적인 성과 창출
- 집적회로 배치에 박차를 가하고 설계, 제조, 패키징 테스트, 재료 및 장비를 아우르는 완비된 산업망 형성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