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항공 기상학자 : 인력 문제 해결을 위한 긴급 조치 필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부책임처(GAO)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8-28
- 등록일 2025-09-05
- 권호 295
○ 미국 정부책임처(GAO)는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국립해양대기청(NOAA) 산하 국립기상청(NWS) 간의 협력 하에 제공되는 항공기상 지원서비스의 인력 실태를 검토하고, 이로 인한 전국공역시스템(NAS)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본 보고서는 특히 2025년 9월로 만료 예정인 FAA-NWS 간 기상지원 서비스 협정의 개편 논의를 앞두고, 현재 인력 구조의 한계와 위험요소를 조기에 경고하고 정책 대응을 촉구하는 데 목적으로 함
○ 연방항공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는 미국 내 하루 45,000편 이상의 항공편을 관리하며, 기상학자는 NAS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기상 정보를 제공
- 이들은 중앙기상서비스유닛(CWSU) 및 항공교통통제 시스템 지휘센터(Command Center)에 상주하며, 항공 관제사와 직접 협력하고 있음
- FAA는 기상청과의 협정을 통해 매년 항공기상학자 90명의 FTE(정규직 환산 인원)를 지원하고 그 비용을 환급해왔으며, 2025년 협정 수정에 따라 FTE는 81명으로 하향 조정됨
- 기상청은 FAA에 FTE 71명 수준은 안전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했음에도, 최종적으로 2025년 인력 상한을 81명으로 설정
○ 기상청에 따르면 2025년 6월 연방 고용동결과 퇴사연기 프로그램의 영향에 따라 실제 근무 중인 인원은 69명으로 감소했으며, 이는 이미 경고 수준 이하임
이로 인해 많은 기상학자들이 과도한 초과근무, 휴가 포기, 이중 지역 커버 등을 감내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1~2명만 근무 중으로 서비스 질이 저하되고 있음
○ GAO는 FAA가 기상청과 긴밀히 협의하여, 현재의 기상학자 수준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국가공영시스템의 잠재적인 위협과 안전 및 효율성을 완전히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급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함
- 본 보고서는 특히 2025년 9월로 만료 예정인 FAA-NWS 간 기상지원 서비스 협정의 개편 논의를 앞두고, 현재 인력 구조의 한계와 위험요소를 조기에 경고하고 정책 대응을 촉구하는 데 목적으로 함
○ 연방항공청(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는 미국 내 하루 45,000편 이상의 항공편을 관리하며, 기상학자는 NAS 운영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기상 정보를 제공
- 이들은 중앙기상서비스유닛(CWSU) 및 항공교통통제 시스템 지휘센터(Command Center)에 상주하며, 항공 관제사와 직접 협력하고 있음
- FAA는 기상청과의 협정을 통해 매년 항공기상학자 90명의 FTE(정규직 환산 인원)를 지원하고 그 비용을 환급해왔으며, 2025년 협정 수정에 따라 FTE는 81명으로 하향 조정됨
- 기상청은 FAA에 FTE 71명 수준은 안전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했음에도, 최종적으로 2025년 인력 상한을 81명으로 설정
○ 기상청에 따르면 2025년 6월 연방 고용동결과 퇴사연기 프로그램의 영향에 따라 실제 근무 중인 인원은 69명으로 감소했으며, 이는 이미 경고 수준 이하임
이로 인해 많은 기상학자들이 과도한 초과근무, 휴가 포기, 이중 지역 커버 등을 감내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1~2명만 근무 중으로 서비스 질이 저하되고 있음
○ GAO는 FAA가 기상청과 긴밀히 협의하여, 현재의 기상학자 수준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국가공영시스템의 잠재적인 위협과 안전 및 효율성을 완전히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급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