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심해・해구 탐사・채취 플랫폼에 관한 제안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8-29
- 등록일 2025-09-05
- 권호 295
○ 문부과학성은 일본이 재해방지, 해양영역인식(MDA), 해저 광물 자원, 해양 환경, 생물 등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해양 안보와 지속 가능한 해양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심해·해구 탐사·채취 플랫폼 구축 방안에 대해 정리한 제안서를 발표
- 4기 해양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종합적인 해양 안보”와 “지속가능한 해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상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활용하는 것이 대전제이며, EEZ 면적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수심 4,000m 이상의 해역에 대한 탐사 능력을 유지·강화하는 것이 필수적
- 일본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심해 강국이나 해외의 빠른 심해 탐사 능력 향상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으며, 보유 장비의 노후화 또한 심각
- 따라서 심해탐사용 첨단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동시에 다양한 심해 탐사 장비를 탑재할 수 있는 모선(母船)을 포함한 새로운 탐사·채취 플랫폼 구축을 신속히 진행하여 일본의 심해 탐사 역량을 효율적으로 높이고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하는 것이 중요
- 또한, 인력 절감 및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심해·해구 탐사·채취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해양 안보(방재, MDA, 해저 광물자원 등)와 지속 가능한 해양(해양 환경, 생물 등)에 기여할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창출하고 사회적 과제 해결에도 기여 필요
- 이러한 플랫폼 구축은 기술 혁신과 사업기회 창출은 물론, 차세대 해양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주요 내용
- 심해탐사의 의의, 심해탐사의 현황 및 과제, 심해탐사 플랫폼에 기대되는 연구 예시(해역에서의 지진 등 예측 및 위험 평가에 기여하는 재해방지연구 등), 심패탐사 플랫폼의 사회적 기여 및 효과 등
- 4기 해양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종합적인 해양 안보”와 “지속가능한 해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상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파악·활용하는 것이 대전제이며, EEZ 면적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수심 4,000m 이상의 해역에 대한 탐사 능력을 유지·강화하는 것이 필수적
- 일본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심해 강국이나 해외의 빠른 심해 탐사 능력 향상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으며, 보유 장비의 노후화 또한 심각
- 따라서 심해탐사용 첨단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동시에 다양한 심해 탐사 장비를 탑재할 수 있는 모선(母船)을 포함한 새로운 탐사·채취 플랫폼 구축을 신속히 진행하여 일본의 심해 탐사 역량을 효율적으로 높이고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하는 것이 중요
- 또한, 인력 절감 및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심해·해구 탐사·채취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해양 안보(방재, MDA, 해저 광물자원 등)와 지속 가능한 해양(해양 환경, 생물 등)에 기여할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창출하고 사회적 과제 해결에도 기여 필요
- 이러한 플랫폼 구축은 기술 혁신과 사업기회 창출은 물론, 차세대 해양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주요 내용
- 심해탐사의 의의, 심해탐사의 현황 및 과제, 심해탐사 플랫폼에 기대되는 연구 예시(해역에서의 지진 등 예측 및 위험 평가에 기여하는 재해방지연구 등), 심패탐사 플랫폼의 사회적 기여 및 효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