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저탄소 해상연료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09-12
  • 등록일 2025-09-19
  • 권호 296
○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저탄소 해상연료(Low-Carbon Maritime Fuels) 분야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살펴본 논평 발표
○ 해상 운송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국제적인 기후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IMO는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2023년 전략 시행을 위한 법적구속력이 있는 넷제로 프레임워크를 승인하였음
○ 저탄소 해상연료 공급을 위한 미국의 준비 상태는 크게 두 가지의 범주, '바이오유래 연료(biofuels)와 합성전기연료(e-fuels)'로 평가할 수 있음
- 각각의 경로는 미국의 경쟁력 강화 기회를 제공하지만, 대규모 도입과 확산에는 도전 과제도 동반함
- biofuels은 단기적으로는 유망한 해결책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이 제약에 직면하게 될 것임
- 반면 e-메탄올이나 암모니아와 같은 저탄소 수소기반의 e-fuels은 유망한 신생 옵션이지만 대규모로 생산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상태임
- 이러한 상황은 저탄소 해상 연료의 대규모 보급 전환을 위해 일관된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보여줌
○ 미국의 청정연료 정책은 최근 몇 년간 변혁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특별히 저탄소 해상 연료를 겨냥한 연방프로그램은 없지만 여러 정책들이 이 분야의 발전을 간접적으로 지원해왔음
○ 미국은 강력한 공급 측면 인센티브, 바이오 연료 부문의 성숙도 등을 바탕으로 저탄소 해상 연료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원료 경쟁, 제한된 항만인프라,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정책 변동, 낮은 국내 수요 등 제약으로 인해 공급 측면의 준비만으로는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음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