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차세대 혁신로 관련 동향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10-03
- 등록일 2025-10-10
- 권호 297
○ 경제산업성은 10월 3일 개최된 종합자원에너지조사회 전력·가스사업분과회 원자력 소위원회 혁신로 WG 9회 회의에서 차세대 혁신로에 관한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를 발표
○ 차세대 혁신로의 개발 구체화를 위한 검토
- 차세대 혁신로의 경우 일본이 보유한 원자로 노형 개발에 관한 기술적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자 등에 대한 개별적 의견 청취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의 진행 목표 시기가 설정되어 있음
- 한편, 고속로 및 고온 가스로 실증로 개발 사업 개시, 해외에서의 소형 경수로 개발, 7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 등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여, 차세대 혁신로 개발 로드맵의 구체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앞으로 이를 위한 구체적 방향성을 논의할 계획
○ 국제 동향
- (미국) '30년까지 대형 원자료 10개 건설 방침 및 '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24년 약 100GW에서 400GW까지 확대한다고 발표
- (캐나다) '25.5 온타리오 주정부가 GE Vernova와 히타치가 공동으로 개발중인 SMR 최초 기종 프로젝트에 대해 달링턴 지역에서 건설 개시를 승인하였으며, 향후 최초 기종('30년 운행 목표) 외에 3대를 추가하여 총 4대의 BWRX-300를 건설할 계획
- (영국) '25.6 정부가 영국 최초의 SMR 건설의 우선 협상자로서 롤스로이스 선정
○ 원자력 공급망 지원 관련 대응현황
- (차세대 혁신로 개발·건설을 위한 기술개발·공급망 구축 지원사업) △GX 실현을 위한 투자를 촉진하는 구체적 방안인 ‘분야별 투자 전략’에 따라, GX 이행채를 활용한 원자력 공급망 및 원자력 인재 등 기반 인프라에 대한 지원 사업 시작 △혁신 경수로·소형 경수로의 개발·건설에 필요한 기술 항목과 관련하여, 기기·부품 소재 등의 공급망을 고도화하는 연구개발·제조기술개발·제조 실증 등과 같은 대응을 지원
- (원자력산업기반강화사업) 일본 내 공장 및 공급자 등에 의한 원자력 관련 기기, 서비스의 안전성,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술개발 및 제조프로세스의 디지털화 촉진 등에 기여하는 대응 지원
○ 차세대 혁신로의 개발 구체화를 위한 검토
- 차세대 혁신로의 경우 일본이 보유한 원자로 노형 개발에 관한 기술적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사업자 등에 대한 개별적 의견 청취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의 진행 목표 시기가 설정되어 있음
- 한편, 고속로 및 고온 가스로 실증로 개발 사업 개시, 해외에서의 소형 경수로 개발, 7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 등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여, 차세대 혁신로 개발 로드맵의 구체화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앞으로 이를 위한 구체적 방향성을 논의할 계획
○ 국제 동향
- (미국) '30년까지 대형 원자료 10개 건설 방침 및 '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24년 약 100GW에서 400GW까지 확대한다고 발표
- (캐나다) '25.5 온타리오 주정부가 GE Vernova와 히타치가 공동으로 개발중인 SMR 최초 기종 프로젝트에 대해 달링턴 지역에서 건설 개시를 승인하였으며, 향후 최초 기종('30년 운행 목표) 외에 3대를 추가하여 총 4대의 BWRX-300를 건설할 계획
- (영국) '25.6 정부가 영국 최초의 SMR 건설의 우선 협상자로서 롤스로이스 선정
○ 원자력 공급망 지원 관련 대응현황
- (차세대 혁신로 개발·건설을 위한 기술개발·공급망 구축 지원사업) △GX 실현을 위한 투자를 촉진하는 구체적 방안인 ‘분야별 투자 전략’에 따라, GX 이행채를 활용한 원자력 공급망 및 원자력 인재 등 기반 인프라에 대한 지원 사업 시작 △혁신 경수로·소형 경수로의 개발·건설에 필요한 기술 항목과 관련하여, 기기·부품 소재 등의 공급망을 고도화하는 연구개발·제조기술개발·제조 실증 등과 같은 대응을 지원
- (원자력산업기반강화사업) 일본 내 공장 및 공급자 등에 의한 원자력 관련 기기, 서비스의 안전성,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술개발 및 제조프로세스의 디지털화 촉진 등에 기여하는 대응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