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에너지 분야의 과학 혁신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노무라종합연구소(NR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10-06
  • 등록일 2025-10-10
  • 권호 297
○ 노무라종합연구소는 일본의 GX 산업구조변혁목표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 연구개발기관과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특히 미국 NREL(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의 성공 사례 등 구체적 통찰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
- (일본의 GX 전략과 과제) 일본은 '40년까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탈탄소화를 동시에 실현하는 GX 산업구조변혁을 목표로, 10년간 150조 엔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혁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하는 과학기술혁신이 필수불가결
- (NREL의 역할) 미국의 NREL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효율 분야의 기초연구 뿐 아니라 기업기술 지원과 스타트업 투자 촉진 활동을 수행하는 연구소로 NREL이 매년 개최하는 산업성장포럼(IGF)은 청정기술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연결하여 누적 11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
- (혁신적인 스타트업 사례) IGF에서는 데이터센터 전력 손실을 1% 이내로 줄이는 Palanquin Power, 고효율 탠덤 태양 전지를 제공하는 Tandem PV 등 성숙 단계의 다양한 혁신 기업들이 소개됨.
- (배터리 안전성 향상) Sepion Technologies는 AI를 활용한 재료 탐색 플랫폼으로 화재 위험을 낮춘 불연성 전해질을 개발하여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
- (과학기술인재의 중요성) IGF가 선정한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박사 학위 소지자를 핵심 인력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혁신 창출에 있어 고도의 전문 지식을 가진 인재의 중요성을 시사
- (일본 기업의 경쟁 우위 확보) 일본 기업은 NREL과의 연계를 통해 고도의 기술 지원, 성능 평가 및 검증, 지재권 라이선스 취득, 최첨단 시설 활용 등을 통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즉 과학기술 연구개발기관과의 전략적 연계는 일본 기업이 GX 시대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새로운 산업 구조를 형성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