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AI 시대의 디지털 인재육성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정보처리추진기구 (IPA)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5-10-09
  • 등록일 2025-10-10
  • 권호 297
○ 정보처리추진기구는 AI 시대의 디지털 인재 육성에 관한 일본의 현황 및 과제를 정리하고, 지향해야 할 디지털 인재 육성 환경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한 보고서를 발표
○ AI가 디지털 인재에 끼치는 영향
- (디지털 인재를 중심으로 한 고용구조 변화) △'25~'30년 사이에 현재 총 고용의 14%에 해당하는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는 반면, 8%에 해당하는 일자리가 사라져, 결과적으로 현재 총 고용의 22%에 해당하는 대규모 고용 구조 변화 예측 △성장률 상위 직종에는 빅데이터 전문가, 핀테크 엔지니어, AI·기계학습 전문가,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등 기술 관련 직종 포함 △기술 측면에서는 AI와 빅데이터, 네트워크와 사이버보안, 기술적 리터러시 수요가 가장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분석적 사고, 회복력, 유연성, 민첩성, 리더십 등 인간 고유의 역량은 여전히 필수적인 기술로 남을 것으로 예상(WEF 일자리 미래보고서 2025)
○ 일본이 추구해야 할 디지털 인재 육성 환경
- (기업과 개인의 관계 변화) △신입사원 일괄 채용, 회사 주도의 인사 이동 등 기존의 기업과 개인간 관계를 전환하여, 기업과 개인의 의사 조율을 통해 경력을 구축하고, 직무(JOB)와 기술에 따라 시장 가치를 반영한 보상을 결정하는 새로운 인재 관리 체제로 이동함으로써, 개인이 목표로 하는 경력을 실현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기술 향상과 습득을 추진하도록 지원 △기업은 사업전략 실현에 필요한 직무와 기술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인재 육성 실시 △AI로 인해 필요한 기술과 역할이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업과 개인의 관계에서 벗어나 기술을 기반으로 평가와 역할이 결정되는 역동적인 관계로 전환하는 것이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바람직
- (실습형 학습 확대) △대학 교육에서 실습형 학습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실무 경험을 가진 인재가 교육 현장에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 △이는 기업 측에 부담이 될 수 있으나, 기업과 개인간 관계를 전환하여 각 직무와 기술에 맞는 채용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산학 공동연구 및 장기 인턴십을 통해 채용 후보 학생을 평가하고 채용 전 매칭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인재 확보 측면에서 기업에도 유리 △즉 기업과 개인의 관계 변화와 산학 협력을 통한 실습형 학습 확대가 상호 순환적으로 강화됨으로써, AI 시대에 적합한 디지털 인재 육성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