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반도체 관세가 아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최종 제품 수출 감소와 아시아 내 공급망을 통한 간접적 영향에 주목 - 원문보기 1 원문보기 2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종합연구소(JR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5-10-10
- 등록일 2025-10-10
- 권호 297
○ 일본종합연구소는 미국의 반도체 관세가 아시아 경제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한 보고서를 발표
- 트럼프 행정부는 잇따라 관세 조치를 도입해 왔지만, 반도체 및 ICT 제품의 대부분은 현재 시점에서 추가 관세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관련 제품을 많이 수출하는 아시아 각국 및 지역은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앞으로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도입될 경우, 아시아에서 미국으로의 반도체 및 ICT 제품 수출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뿐 아니라, ICT 제품 생산에 필요한 반도체 등의 아시아 역내 교역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반도체 관련 제품 수입 수요가 직접·간접적으로 아시아 각국의 생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추산한 결과,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 최종 제품을 중심으로 한 직접 수요는 연간 2,700억 달러 이상(아시아 GDP의 0.8%)이며, 이러한 수요로 인해 발생한 반도체 칩 등의 간접 수요는 연간 500억 달러 이상(동 0.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반도체 칩 등 간접 수요는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직접 수요보다 규모가 크며, 아시아 역내 반도체 교역에도 무시할 수 없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직접·간접 효과를 합한 전체 영향은 특히 대만(GDP의 8.7%), 베트남(7.0%), 말레이시아(3.2%) 등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 홍콩, 필리핀도 GDP의 1% 이상이 미국 수요와 연동됨
- 현재로서는 반도체 관련 제품의 대미 수출이 호조를 보이며 아시아 경제를 견인하고 있지만, 향후 아시아 경제 전망시 반도체 관세의 동향 및 대상 범위를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음
- 트럼프 행정부는 잇따라 관세 조치를 도입해 왔지만, 반도체 및 ICT 제품의 대부분은 현재 시점에서 추가 관세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관련 제품을 많이 수출하는 아시아 각국 및 지역은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앞으로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도입될 경우, 아시아에서 미국으로의 반도체 및 ICT 제품 수출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뿐 아니라, ICT 제품 생산에 필요한 반도체 등의 아시아 역내 교역에도 간접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반도체 관련 제품 수입 수요가 직접·간접적으로 아시아 각국의 생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추산한 결과,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 최종 제품을 중심으로 한 직접 수요는 연간 2,700억 달러 이상(아시아 GDP의 0.8%)이며, 이러한 수요로 인해 발생한 반도체 칩 등의 간접 수요는 연간 500억 달러 이상(동 0.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 반도체 칩 등 간접 수요는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직접 수요보다 규모가 크며, 아시아 역내 반도체 교역에도 무시할 수 없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직접·간접 효과를 합한 전체 영향은 특히 대만(GDP의 8.7%), 베트남(7.0%), 말레이시아(3.2%) 등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 홍콩, 필리핀도 GDP의 1% 이상이 미국 수요와 연동됨
- 현재로서는 반도체 관련 제품의 대미 수출이 호조를 보이며 아시아 경제를 견인하고 있지만, 향후 아시아 경제 전망시 반도체 관세의 동향 및 대상 범위를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