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2025년 재생에너지 보고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IE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10-07
  • 등록일 2025-10-10
  • 권호 297
○ 해당 보고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 확대하기로 한 COP28의 합의를 기반으로, 각국의 정책, 시장, 투자 동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2023~2030년 기간 동안 전력, 수송, 바이오가스 등 주요 부문별 재생에너지 발전 추세를 예측하고, 정책 이행 수준과 공급망 안정성을 평가함
- 또한 재생에너지 확대의 정책적, 경제적 병목요인을 식별하고, COP30 이전 국가별 이행점검(Global Stocktake)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함
○ 주요 내용
- 태양광을 중심으로 글로벌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은 2030년까지 2.6배 증가하지만, 송전망 병목 현상과 허가 지연으로 COP28의 3배 확대 목표에는 다소 미달할 전망임
- 풍력 및 태양광 제조업체들은 과잉공급과 가격하락으로 손실을 겪고 있으나 개발자와 구매자 수요는 여전하며 2030년까지 설치 목표를 유지하거나 확대하고 있음
- 공급망 집중도는 2030년에도 90% 이상으로 유지되며, 희토류와 태양광 원자재의 80~90%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전력망 통합과 유연성 확보가 핵심 과제로 제시됨
- 바이오연료 수요는 2030년 사상 최고치에 도달하고, 바이오메탄 생산은 70% 증가하지만, 수송 및 열 부문 전체 에너지 수요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4%→6%로 완만한 상승만 보임
-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투자를 2배 확대해야 하며, 신흥국 투자 확대, 국제 정책 조율, 송전망 인프라 확충이 핵심 과제로 강조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