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해외단신
분석적 소양 우선: AI, 데이터 및 디지털 역량을 위한 전제 조건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미국과학자연맹(FA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5-11-07
- 등록일 2025-11-14
- 권호 299
○ 미국과학자연맹(FAS)은 AI, 데이터, 디지털 기술이 사회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분석적 문해력(Analytical Literacy)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국가 차원의 교육 전략으로 정립할 것을 촉구하는 정책 권고사항 제시
- 분석적 문해력은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을 포괄하며, 학생들이 복잡한 정보를 해석하고 주장을 평가하며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K-12 교육에서는 분석적 사고에 대한 강조가 지역과 학교 환경에 따라 불균형적으로 적용 중
○ 오늘날 상호연계된 세상에서, 디지털 문해력, 데이터 문해력과 AI 문해력은 더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며, 이들은 시민참여와 경제적 이동성,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들임
- 디지털 문해력은 기술을 효과적이고 비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하고 있음
- 데이터 문해력은 데이터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평가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
- AI 문해력은 인공지능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그 응용과 윤리적 함의, 그리고 어떻게 AI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것인가를 이해하는 것을 포함
○ K-12 교육에서 분석적 문해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기관 및 교사준비 프로그램, 주정부기관의 지원을 받는 3개의 연방사무국에 대한 목표화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
- (1) 연방 차원 권고: ▲백악관 OSTP(AI 교육 태스크포스의 범위에 분석적 소양을 포함), ▲IES(분석 소양 연구 어젠다 수립 및 교육 모델 개발), ▲OESE (교사 연수 및 교육 기준에 분석적 사고 명시), ▲NSF(분석적 사고 중심의 STEM 교육 연구 및 교사 역량 강화)
- (2) 주 정부 차원 권고: ▲학업 표준에서 분석적 문해력 향상, ▲전문성 개발 및 교육 역량에 투자하세요, ▲더 깊은 사고를 포착하기 위한 학생 평가 재설계
- (3) 전문 교육 단체 권고: ▲학문별 수업 자료 개발, ▲분석 소양의 국가 핵심 교육 의제로서의 인식 제고, ▲부문 간 협력 촉진
- (4) 교사양성기관(TPP) 권고: ▲분석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및 임상 실습 제공, ▲교수진의 분석적 사고 모델 확립, ▲분석 교육을 위한 현장 실습 강화, ▲분석적 소양에 중점을 둔 캡스톤 프로젝트를 개발, ▲프로그램 결과를 새로운 정책 우선순위에 맞춰 조정
- 분석적 문해력은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을 포괄하며, 학생들이 복잡한 정보를 해석하고 주장을 평가하며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K-12 교육에서는 분석적 사고에 대한 강조가 지역과 학교 환경에 따라 불균형적으로 적용 중
○ 오늘날 상호연계된 세상에서, 디지털 문해력, 데이터 문해력과 AI 문해력은 더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며, 이들은 시민참여와 경제적 이동성,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들임
- 디지털 문해력은 기술을 효과적이고 비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하고 있음
- 데이터 문해력은 데이터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평가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
- AI 문해력은 인공지능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그 응용과 윤리적 함의, 그리고 어떻게 AI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것인가를 이해하는 것을 포함
○ K-12 교육에서 분석적 문해력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기관 및 교사준비 프로그램, 주정부기관의 지원을 받는 3개의 연방사무국에 대한 목표화된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
- (1) 연방 차원 권고: ▲백악관 OSTP(AI 교육 태스크포스의 범위에 분석적 소양을 포함), ▲IES(분석 소양 연구 어젠다 수립 및 교육 모델 개발), ▲OESE (교사 연수 및 교육 기준에 분석적 사고 명시), ▲NSF(분석적 사고 중심의 STEM 교육 연구 및 교사 역량 강화)
- (2) 주 정부 차원 권고: ▲학업 표준에서 분석적 문해력 향상, ▲전문성 개발 및 교육 역량에 투자하세요, ▲더 깊은 사고를 포착하기 위한 학생 평가 재설계
- (3) 전문 교육 단체 권고: ▲학문별 수업 자료 개발, ▲분석 소양의 국가 핵심 교육 의제로서의 인식 제고, ▲부문 간 협력 촉진
- (4) 교사양성기관(TPP) 권고: ▲분석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및 임상 실습 제공, ▲교수진의 분석적 사고 모델 확립, ▲분석 교육을 위한 현장 실습 강화, ▲분석적 소양에 중점을 둔 캡스톤 프로젝트를 개발, ▲프로그램 결과를 새로운 정책 우선순위에 맞춰 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