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주요국 정책으로 살펴본 우리나라 제4차 산업혁명 정책 수립 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현대경제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8-08
  • 등록일 2017-08-28
  • 권호 101

○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국의 제4차 산업혁명 정책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정책 수립 방향 및 시사점 도출


 - (미국) 제조업 부활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차세대 제조기술”(Advanced Manufacturing)을 규정하고, 실행 프로그램인

   “Manufacturing USA" 추진


 - (독일) 일반기계, 우수한 제조인력에 ICT를 접목해 “차세대 제조 기술”을 갖추는 동기로 추진하며, 공장 고도화기술 개발이 중심


 - (일본) 경제·사회적 과제를 해소할 기술, 제품·서비스 개발, 지원 인프라 등 국가 주도의 전방위적 변혁 실행


 - (평가 및 시사점)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차세대 산업과 사회구조 구축의 체인저(Changer)로 활용하는 정책이 요청되며, M&A,

    개방형 혁신 등 외부 역량 활용 전략, 제조와 서비스 산업 융합 정책 등이 필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