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제 7차 산업기술혁신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9-03-27
- 등록일 2019-03-29
- 권호 139
○ 산업통상자원부는 3.26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를 거쳐 ‘제7차 산업기술혁신계획’을 확정
- (기본방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전략적 투자 배분, 속도·도전·축적 중심의 기술개발 체계 구축, 플랫폼·실증 위주로 기반구축 방식 전환, 신기술의 신속 시장진출 지원시스템 조성
- (4대전략)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전략성 강화, 산업혁신 선도 기술개발 체계 구축, 국가혁신체계를 고도화하는 산업기술 기반 구축, R&D 성과의 신속 시장진출 지원시스템 구축
※ 주요목표 : (주력산업 세계시장 점유율)’17년 8.5%→’23년 12%, (신산업분야 세계 1위 대비 기술 수준)’17년 80%→ ’23년 84%, (GDP 대비 기업 R&D 투자 비중)’17년 3.6% → ’23년 4.3%, (산업체 연구개발인력 비중)’17년 9.4% → ’23년 12%, (대학·공공연의 기술이전율)’17년 38% → ‘23년 43%
- (기본방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전략적 투자 배분, 속도·도전·축적 중심의 기술개발 체계 구축, 플랫폼·실증 위주로 기반구축 방식 전환, 신기술의 신속 시장진출 지원시스템 조성
- (4대전략)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투자전략성 강화, 산업혁신 선도 기술개발 체계 구축, 국가혁신체계를 고도화하는 산업기술 기반 구축, R&D 성과의 신속 시장진출 지원시스템 구축
※ 주요목표 : (주력산업 세계시장 점유율)’17년 8.5%→’23년 12%, (신산업분야 세계 1위 대비 기술 수준)’17년 80%→ ’23년 84%, (GDP 대비 기업 R&D 투자 비중)’17년 3.6% → ’23년 4.3%, (산업체 연구개발인력 비중)’17년 9.4% → ’23년 12%, (대학·공공연의 기술이전율)’17년 38% → ‘23년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