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IP-R&D 전면 확대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특허청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9-11-20
- 등록일 2019-12-06
- 권호 156
○ ‘특허 기반 연구개발(IP-R&D)’을 통하여 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을 조기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본격 추진
-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과제에 R&D와 IP-R&D 패키지 지원) IP-R&D를 통해, 각 R&D 과제에 (1)기존 특허를 감안한 대체기술 개발전략, (2)선도기업 핵심기술 파악에 따른 최적의 R&D 방향, (3)특허분석을 통한 해외업체 M&A 등 대안적 기술 확보 방안을 제공해, 산・학・연의 신속한 기술개발 지원
- (스타트업 기술가치를 키워 민간투자, R&D까지 연계) 중소기업에 특허문헌으로부터 소재 조성물 DB 등 다양한 정보를 추출해 핵심품목별 기업群에 제공하는 한편, 해외시장별 지재권 확보전략 및 지재권 융합 전략도 지원
- (정부・민간에 IP-R&D 확산 기반 구축) 수시로 IP-R&D 수행방법에 대한 자문을 받을 수 있도록 특허전략개발원 내에 ‘특허전략 확산 지원센터’를 운영
-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과제에 R&D와 IP-R&D 패키지 지원) IP-R&D를 통해, 각 R&D 과제에 (1)기존 특허를 감안한 대체기술 개발전략, (2)선도기업 핵심기술 파악에 따른 최적의 R&D 방향, (3)특허분석을 통한 해외업체 M&A 등 대안적 기술 확보 방안을 제공해, 산・학・연의 신속한 기술개발 지원
- (스타트업 기술가치를 키워 민간투자, R&D까지 연계) 중소기업에 특허문헌으로부터 소재 조성물 DB 등 다양한 정보를 추출해 핵심품목별 기업群에 제공하는 한편, 해외시장별 지재권 확보전략 및 지재권 융합 전략도 지원
- (정부・민간에 IP-R&D 확산 기반 구축) 수시로 IP-R&D 수행방법에 대한 자문을 받을 수 있도록 특허전략개발원 내에 ‘특허전략 확산 지원센터’를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