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위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현대경제연구원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20-01-21
- 등록일 2020-02-14
- 권호 160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의 원인 규명이 장기화됨에 따라,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던 ESS 산업의 조기 쇠퇴가 우려되고 있음
-ESS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설비로, 전력 산업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였으며, ‘제 2의 반도체’로 주목받았음
-ESS는 피크감축, 재생에너지 간헐성 보완, 주파수 조정 등을 통해 전력수급의 안정화 및 효율화에 기여하고 있음
-2년간 국내에서 약 28건의 ESS 화재사고가 발생하면서, 글로벌시장은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ESS 시장규모는 축소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단기 및 장기 대책으로 나누어 대안을 살펴볼 수 있음
-(단기) 국민불안 해소, 화재원인 명확히 규명, 신규 ESS 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 및 투자유도 필요
-(장기) 규제혁신 방안에 맞도록 포괄적 네트워크 구축 및 공공 테스트베드 구축과 이를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해야함
-ESS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설비로, 전력 산업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였으며, ‘제 2의 반도체’로 주목받았음
-ESS는 피크감축, 재생에너지 간헐성 보완, 주파수 조정 등을 통해 전력수급의 안정화 및 효율화에 기여하고 있음
-2년간 국내에서 약 28건의 ESS 화재사고가 발생하면서, 글로벌시장은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ESS 시장규모는 축소되고 있는 실정임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는, 단기 및 장기 대책으로 나누어 대안을 살펴볼 수 있음
-(단기) 국민불안 해소, 화재원인 명확히 규명, 신규 ESS 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 및 투자유도 필요
-(장기) 규제혁신 방안에 맞도록 포괄적 네트워크 구축 및 공공 테스트베드 구축과 이를 고도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해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