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2021 다보스 아젠다 위크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현대경제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1-22
- 등록일 2021-01-22
- 권호 183
○올해 51주년을 맞는 다보스포럼은 코로나19로 5월말 싱가포르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연기되며, 오는 1월 25일~29일을 다보스 아젠다 위크로 정하고 온라인 기반의 세미나를 진행할 계획
- 2021 다보스 아젠다 위크에서는 다음과 같은 글로벌 이슈들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
1) COVID19 확산: 세계 경제는 COVID-19 3차 대유행의 기로에 위치하면서 전반적인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됨
2) 경기침체에 대한 극복: 2021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며 공공의 정책적 역량이 지속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예상
3) 코로나로 인한 산업의 변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기업과 지역의 위기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
4) 미래의 직업: 미래 직업은 기술 진보와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를 반영하여 창출될 전망
5) 기후변화대응: 환경문제, 기후변화 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국제적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으며, 향후 그린 이코노미의 확대와 보편화가 예상
6) 4차 산업혁명 기술 이용: 사회, 경제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이 떠오르고 있으나, 기술과 인프라 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노력 병행이 필요
7) 2021 글로벌 리스크: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각종 리스크(실업자 발생, 취약계층 확대, 부채 증대 등)가 존재
- 2021 다보스 아젠다 위크에서는 다음과 같은 글로벌 이슈들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예상
1) COVID19 확산: 세계 경제는 COVID-19 3차 대유행의 기로에 위치하면서 전반적인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됨
2) 경기침체에 대한 극복: 2021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며 공공의 정책적 역량이 지속적으로 강조될 것으로 예상
3) 코로나로 인한 산업의 변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협력을 통해 기업과 지역의 위기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
4) 미래의 직업: 미래 직업은 기술 진보와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를 반영하여 창출될 전망
5) 기후변화대응: 환경문제, 기후변화 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는 국제적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으며, 향후 그린 이코노미의 확대와 보편화가 예상
6) 4차 산업혁명 기술 이용: 사회, 경제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이 떠오르고 있으나, 기술과 인프라 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노력 병행이 필요
7) 2021 글로벌 리스크: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각종 리스크(실업자 발생, 취약계층 확대, 부채 증대 등)가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