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제 9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2-25
- 등록일 2021-02-26
- 권호 185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9회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개최하여, 「소재 R&D 투자 혁신 전략(안)」을 심의·의결함
- 정부는 ‘19년부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 충격으로 인한 현안대응을 추진 중이나, 10년 이상을 내다보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소재 R&D에 특화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현장 의견에 따라 동 전략을 마련함
* 소재·부품·장비 2.0 전략(‘20.7), 소재·부품·장비 R&D 고도화 방안(’20.10) 등
- 먼저 희소원소 대응 원천기술 개발, 핵심품목(185개) 공급 안정화 기술개발 등 과학, 산업적으로 파급력이 큰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
- 대학,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을 거점으로 소재 R&D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장기‧협업 중심의 연구생태계 구축을 지원함
- 국내외 소재 관련 기술 정책 동향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국가기술전략센터(NCTS)를 설치‧운영할 계획임
- 정부는 ‘19년부터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 충격으로 인한 현안대응을 추진 중이나, 10년 이상을 내다보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소재 R&D에 특화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현장 의견에 따라 동 전략을 마련함
* 소재·부품·장비 2.0 전략(‘20.7), 소재·부품·장비 R&D 고도화 방안(’20.10) 등
- 먼저 희소원소 대응 원천기술 개발, 핵심품목(185개) 공급 안정화 기술개발 등 과학, 산업적으로 파급력이 큰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
- 대학,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을 거점으로 소재 R&D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장기‧협업 중심의 연구생태계 구축을 지원함
- 국내외 소재 관련 기술 정책 동향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국가기술전략센터(NCTS)를 설치‧운영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