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코로나19 발, 글로벌 밸류 체인(GVC)의 충격과 한국 산업의 리밸런싱 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하나금융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3-16
- 등록일 2020-09-04
- 권호 187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본고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글로벌 가치 사슬이 한국 산업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며, 한국 산업이 지속적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살펴봄
- 수요, 공급, 운송시스템 등의 충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2020년 상반기 세계 중간재 무역은 전년동기보다 10% 이상 감소함
- 미-중 무역갈등 속 미국 정부의 압력, 기업의 대외 리스크 축소 등으로 인해 미국을 중심으로 리쇼어링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그 외 국가의 경우 명확하지 않은 상황임
- G2 갈등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 기업들은 탈중국 선택과 무관하게 통상 리스크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공급망의 안정성과 탄력성을 높여야 함
- 한국은 다양한 외부 충격에도 글로벌 가치 사슬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연결의 질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아시아 지역 내 허브 도약 및 지역화를 추구해야 함
- 수요, 공급, 운송시스템 등의 충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2020년 상반기 세계 중간재 무역은 전년동기보다 10% 이상 감소함
- 미-중 무역갈등 속 미국 정부의 압력, 기업의 대외 리스크 축소 등으로 인해 미국을 중심으로 리쇼어링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그 외 국가의 경우 명확하지 않은 상황임
- G2 갈등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속에서 기업들은 탈중국 선택과 무관하게 통상 리스크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공급망의 안정성과 탄력성을 높여야 함
- 한국은 다양한 외부 충격에도 글로벌 가치 사슬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연결의 질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아시아 지역 내 허브 도약 및 지역화를 추구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