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및 생산역량 확충 방안 공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기획재정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4-01
  • 등록일 2021-04-09
  • 권호 188
○제7차 혁신성장 빅3 추진 회의를 개최해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개발 및 생산역량 확충 방안’ 발표
※ 전력 반도체는 전력의 변환·변압·안정·분배·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AI·5G 통신이나 고온·고압 내구성이 필요한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인버터 등에 적용되는 필수 부품
- 25년까지 핵심제품 5개 이상을 상용화하는 등 국내 자립기반 구축 위해 ①수요연계형 상용화 ②핵심기술개발 ③제조역량 확충 등 3단계로 집중지원
- 우선 2022년까지 파워반도체 상용화센터의 시제품 지원 물량을 2배 확대(월 300→600장)하기 위해 인프라 증설 추진
- 또한 실리콘카바이드(SiC) 등 3대 핵심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에 올해 100억 원을 투입하고 팹리스·파운드리 등 민간과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부터 웨이퍼 제조까지 국내 전 주기 가치사슬 조성에 주력할 방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