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2030년까지 부품기업 1천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6-11
- 등록일 2021-06-25
- 권호 193
○산업통상자원부는 6.10.(목)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
- 미래차 전환에 따라 전동화・자율주행부품 등 새로운 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 부품산업 생산・고용이 ’16년 이후 감소・정체된 상황에서 코로나19 이후 경영상황도 악화되어 개별기업의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음
- 이에 따라, 부품산업 생태계를 신속히 미래차 중심으로 혁신하여 친환경・자율주행 소재・부품시장을 선점하고, 일자리・생산기반 유지 필요함.
-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주요 내용은 ①미래차전환 플랫폼 구축 ②시장성장 분야로 사업모델 혁신 지원 ③사업재편 지원수단 확충과 같음
- 미래차 전환에 따라 전동화・자율주행부품 등 새로운 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될 것으로 전망됨.
- 부품산업 생산・고용이 ’16년 이후 감소・정체된 상황에서 코로나19 이후 경영상황도 악화되어 개별기업의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음
- 이에 따라, 부품산업 생태계를 신속히 미래차 중심으로 혁신하여 친환경・자율주행 소재・부품시장을 선점하고, 일자리・생산기반 유지 필요함.
-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주요 내용은 ①미래차전환 플랫폼 구축 ②시장성장 분야로 사업모델 혁신 지원 ③사업재편 지원수단 확충과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