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21년 하반기 수소·연료전지 분야 R&D, 국내 청정수소 생산 및 활용 기술 확보에 초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9-09
- 등록일 2021-10-01
- 권호 199
○ 산업통상자원부는 9.9.(목) ‘21년 하반기 수소·연료전지 분야 신규 기술개발 과제를 공고하고 추진할 계획임.
- 대상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과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시스템 기술개발 사업 내 9개 과제이며, 1차 년도에는 총사업비 720억 원 중 128억 원이 지원될 예정임
- 하반기 신규 과제는 청정수소 기반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기획되었음.
- 수전해를 통한 수소 생산 방식 중 하나인 음이온교환막 수전해(AEM: AnionExchangeMembrane) 기술을 확보하고 암모니아로부터 수소를 대량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대규모 청정수소 공급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함.
- AEM 기술은 전극 소재로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재생에너지 부하변동 대응이 쉬워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방식으로 부상 중이며, 특히 아직 전세계적으로 상용화 초기단계이므로 국내 기술 확보시 세계 수전해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됨
- 대상 사업은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과 그린수소 생산 및 저장시스템 기술개발 사업 내 9개 과제이며, 1차 년도에는 총사업비 720억 원 중 128억 원이 지원될 예정임
- 하반기 신규 과제는 청정수소 기반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기획되었음.
- 수전해를 통한 수소 생산 방식 중 하나인 음이온교환막 수전해(AEM: AnionExchangeMembrane) 기술을 확보하고 암모니아로부터 수소를 대량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대규모 청정수소 공급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함.
- AEM 기술은 전극 소재로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고 재생에너지 부하변동 대응이 쉬워 차세대 그린수소 생산 방식으로 부상 중이며, 특히 아직 전세계적으로 상용화 초기단계이므로 국내 기술 확보시 세계 수전해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