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R&D-표준연계로 기술자립과 시장 선점 두 마리 토끼 잡는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1-25
  • 등록일 2022-02-18
  • 권호 208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국가 연구개발(R&D)과 표준 간의 연계를 가속화를 위해 「소부장 표준화 포럼」을 열어, 지난 1년간 펼쳐 온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표준연계 사업’ 성과를 공유함
- 산업부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연구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기획 단계부터 표준과의 연계를 모색하는 소재·부품·장비 R&D-표준연계 사업을 지난해부터 추진해 왔음
- 과제 기획과정에서 표준동향 조사를 통해 표준화 효과가 기대되는 5개 소부장 분야를 선정하고, 기술개발 결과를 조속히 국제표준화 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전(全)주기에 걸쳐 표준화 동향을 제공하며 국제표준(안) 제안 등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임
- 이날 반도체 등 5개 분야 10개 과제의 연구진들은 기술개발과 동시에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향후 3년간의 추진 방안을 발표함
- ①연구개발을 통해 일본(아라미드 섬유, 산화이트륨) 및 유럽(극저온 단열소재, 생분해성 PP/PET) 주도 소재·부품의 국산화 및 수입대체를 지원 ②국제표준화로 우리나라 우수기술(이차전지, 스마트섬유 센서 등)의 글로벌 신뢰성이 확보되어 해외 시장 진출의 지렛대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