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해양방사능 조사, 분석, 더욱 촘촘하고 빠르게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해양수산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2-04
- 등록일 2022-02-18
- 권호 208
○ 해양수산부는 국가해양환경측정망 구성·운영계획을 변경·고시하여 전국 연안해역의 해양방사능 조사정점을 45개소로 확대하고, 격월 단위로 조사하는 주요 정점도 13개소에서 22개소로 늘린다고 밝힘
- 그동안 해양수산부는 바다를 통한 방사성핵종의 국내 유입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을 저감하기 위해 해양방사능 조사정점을 확대하고, 제주와 남·동해 해역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정점에 대해서는 조사주기를 반기 1회에서 최대 격월 1회로 단축해왔음
- 올해는 이에 더해 제주연안에 해양방사능 조사정점을 6개소 추가하고, 격월 단위 조사 대상인 주요정점도 13개소에서 22개소로 확대하는 한편, 대한해협 연안과 동해연안에 위치한 4개소 정점에 대해서는 수층별 조사를 실시함
- 해양수산부는 방사성핵종의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함께 선박을 이용한 이동식 방사능 분석실을 시범운영함
- 그동안 해양수산부는 바다를 통한 방사성핵종의 국내 유입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을 저감하기 위해 해양방사능 조사정점을 확대하고, 제주와 남·동해 해역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정점에 대해서는 조사주기를 반기 1회에서 최대 격월 1회로 단축해왔음
- 올해는 이에 더해 제주연안에 해양방사능 조사정점을 6개소 추가하고, 격월 단위 조사 대상인 주요정점도 13개소에서 22개소로 확대하는 한편, 대한해협 연안과 동해연안에 위치한 4개소 정점에 대해서는 수층별 조사를 실시함
- 해양수산부는 방사성핵종의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함께 선박을 이용한 이동식 방사능 분석실을 시범운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