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한 ‘국가 소재 데이터 스테이션(K-MDS)’ 오픈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5-19
- 등록일 2022-06-17
- 권호 216
○ K-MDS 서비스는 부처․사업․연구자별로 산재되어 관리되는 소재 연구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공유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신소재 발굴 및 개발 기간 단축 등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국가소재연구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소재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소재 연구데이터 표준어휘집을 만들어 소재 연구데이터 표준화 기반을 마련함
○ 현재 3대 소재분야(에너지‧환경, 스마트·정보기술, 구조‧안전) 중심으로, 실험 및 계산데이터 직접 생산과 논문으로부터의 자동 수집 등을 통해 약 7.3만 건의 데이터가 K-MDS에 등록되어 있으며, 2027년까지 본 사업을 통해 약 36만 건의 소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
- 이번 K-MDS 오픈을 계기로 향후에는 정부 지원 소재‧부품‧장비 분야 국가연구개발(R&D) 과제에서 생산되는 소재 연구데이터도 등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시켜 나갈 계획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국가소재연구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소재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소재 연구데이터 표준어휘집을 만들어 소재 연구데이터 표준화 기반을 마련함
○ 현재 3대 소재분야(에너지‧환경, 스마트·정보기술, 구조‧안전) 중심으로, 실험 및 계산데이터 직접 생산과 논문으로부터의 자동 수집 등을 통해 약 7.3만 건의 데이터가 K-MDS에 등록되어 있으며, 2027년까지 본 사업을 통해 약 36만 건의 소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
- 이번 K-MDS 오픈을 계기로 향후에는 정부 지원 소재‧부품‧장비 분야 국가연구개발(R&D) 과제에서 생산되는 소재 연구데이터도 등록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확장시켜 나갈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