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반도체 초격차 이끌 인재 ‘10년간 15만 명’ 양성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2-07-19
- 등록일 2022-07-29
- 권호 219
○ 관계 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을 대통령 주재로 7.19일에 열린 국무회의에 보고
- (신규 수요) 디지털 시대 전략·기반 기술인 반도체 산업 규모 확장세에 따라, 산업 인력도 현재 약 17.7만 명에서 10년 후 약 30.4만 명까지 늘어나, 지금보다 약 12.7만 명의 인력이 더 필요할 전망
- (인력 현황) 현재 직업계고·대학(원) 신규 졸업자 중 반도체 관련 산업 취업자는 연간 약 5천 명이고 직업계고·전문학사 등 실무 인력 중심의 인력 공급구조로 되어 있어, 현행 공급 체계가 유지되면 반도체 산업계의 인력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
- (대응전략) 반도체 관련 인재 10년간 15만 명 양성을 목표로 △반도체 시장 급성장에 대비 충분한 규모의 인력을 길러내고 △학위과정 이외 반도체 인력 양성 경로(트랙)를 마련하여 정책 시차를 줄이고 △교육·연구 환경도 개선하여 양질의 고급인력 육성 생태계를 조성
- (신규 수요) 디지털 시대 전략·기반 기술인 반도체 산업 규모 확장세에 따라, 산업 인력도 현재 약 17.7만 명에서 10년 후 약 30.4만 명까지 늘어나, 지금보다 약 12.7만 명의 인력이 더 필요할 전망
- (인력 현황) 현재 직업계고·대학(원) 신규 졸업자 중 반도체 관련 산업 취업자는 연간 약 5천 명이고 직업계고·전문학사 등 실무 인력 중심의 인력 공급구조로 되어 있어, 현행 공급 체계가 유지되면 반도체 산업계의 인력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
- (대응전략) 반도체 관련 인재 10년간 15만 명 양성을 목표로 △반도체 시장 급성장에 대비 충분한 규모의 인력을 길러내고 △학위과정 이외 반도체 인력 양성 경로(트랙)를 마련하여 정책 시차를 줄이고 △교육·연구 환경도 개선하여 양질의 고급인력 육성 생태계를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