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양자 기술 인재 확보 시급, 2030년까지 전문인력 1,000명 확보 전략 마련 착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22-10-13
  • 등록일 2022-10-28
  • 권호 225
○ 양자 관련 논문 주저자와 교신저자를 분석한 결과, 국내 연구자수는 500명 수준으로, 미국 3,100명, 일본 800명 등 경쟁국에 비해 절대규모 면에서 부족한 것으로 분석
- 중점기술별 연구자수는 양자컴퓨팅 261명, 양자통신 187명, 양자감지(센싱) 42명
- 양자 관련 미국 특허를 출원한 국내 발명인은 100명 수준이며, 중점기술별로는 양자컴퓨팅 25명, 양자통신 68명, 양자감지(센싱)은 7명 정도
○ 과기정통부는 양자 분야 인력의 저변확대와 연구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
- 기존 양자 통신·감지기(센서)·컴퓨터·소자 4대 분야 국내 대학(원)이 연합하여 양자대학원을 운영하는 사업을 올해부터 ’24년까지 매년 1개씩 대학연합을 선정하여 지원해 나갈 계획
- 올해 선정된 고려대학교 주관 9개 대학 연합 양자대학원이 운영을 본격화
※ 앞으로 총 9년(4+3+2년)에 걸쳐 석·박사 대상 양자 특화 전문교육과정 개발․운영 등을 수행하며, 180명 이상의 박사급 인재배출 목표
- 양자 분야 세계 인재 유치 활성화를 위해, 기존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을 확대하여 전략기술에 대한 해외 인재 유치를 활성화
* Brain Pool, Brain Pool+사업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