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집단지성이 모여 新 디지털 질서를 모색하는 「디지털 소사이어티(Digital Society)」 출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10-28
- 등록일 2022-09-11
- 권호 226
○ 국회·정부 관계자, 디지털 분야 주요 협단체·학회 등이 참석하고, 산학연 최고 전문가(60여 명)가 모여 「디지털 소사이어티」 창립총회 개최
- 반도체·인공지능 등을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 기술의 혁신은 새로운 경제·산업혁명을 촉발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회시스템·고용구조·교육제도는 물론, 인류 생활양식의 근본적인 변화 초래
- 이에 기술·인문·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 석학·전문가들이 모여 디지털 심화시대의 경제·사회 원칙과 윤리기준 등 새로운 디지털 질서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디지털 대한민국의 공동번영을 위한 미래 해법을 모색해 나갈 예정
- 디지털 소사이어티 목표는 ①디지털사회 전환 촉진 ②디지털경제 융합 확산 ③디지털 신문화 형성
-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교류·참여할 수 있는 개방된 조직으로서 주요의제 발굴, 논의 주도, 사회담론 형성에 핵심역할을 하는 ‘원탁회의’와 분야별 쟁점 발굴 및 해법을 모색해 나가는 ‘전문위원회’ 등으로 구성·운영 계획
- 반도체·인공지능 등을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 기술의 혁신은 새로운 경제·산업혁명을 촉발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회시스템·고용구조·교육제도는 물론, 인류 생활양식의 근본적인 변화 초래
- 이에 기술·인문·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 석학·전문가들이 모여 디지털 심화시대의 경제·사회 원칙과 윤리기준 등 새로운 디지털 질서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고 디지털 대한민국의 공동번영을 위한 미래 해법을 모색해 나갈 예정
- 디지털 소사이어티 목표는 ①디지털사회 전환 촉진 ②디지털경제 융합 확산 ③디지털 신문화 형성
-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교류·참여할 수 있는 개방된 조직으로서 주요의제 발굴, 논의 주도, 사회담론 형성에 핵심역할을 하는 ‘원탁회의’와 분야별 쟁점 발굴 및 해법을 모색해 나가는 ‘전문위원회’ 등으로 구성·운영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