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신동향
국내단신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5-11-07
- 등록일 2025-11-18
- 권호 29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개최된 ‘「다시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대한민국」 국민보고회’에서 과학기술 강국 도약을 위한 과학기술 인재 확보 전략 및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 방안을 발표
- 우수 인재가 모여 혁신적 성과를 창출하고 그 성과가 다시 인재를 유인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 수립
1) 미래를 이끌어 나갈 우수 과학기술 인재 확보
-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업적을 보유한 연구자를 ‘국가과학자’로 선정하여 국민의 존경을 받는 과학자 상 확립
- AI로 혁신을 선도하는 과학기술-AI 융합인재 신규 양성
- 핵심전략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해외 우수・신진 연구자 2,000명 유치 및 유학생 정착 지원
2) 인재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매력적인 생태계 조성
- 이공계 학생들의 연구・학업 몰입을 위한 경제적 지원 확대
* 대학원 장학금 수혜율 10%, 연구생활장려금 도입 대학 55개교로 확대
- 청년‧신진 연구자에 대해 대학 전임교원 및 전문 연구직 확대, 출연연 신규 채용 확대, 창업 등 민간 일자리 창출
- 기초연구를 확대하여 안정적 연구 지원을 강화하고 학연 겸직 활성화 등 매력적인 연구환경 조성
3) 연구자는 연구에만 몰입하도록 불필요한 부담 제거
- 연구비 관리체계를 규제 중심에서 연구자 자율・책임 중심으로 전환하고 과도한 행정 서식 최소화
- 연구행정장비관리 업무는 연구기관이 책임지고 지원하도록 연구지원체계를 전환
4) 과감한 도전으로 혁신의 지평을 확대
- 최고의 혁신성과 창출을 위한 도전적 임무 전용 트랙 구축
- 쉬운 연구를 조장하는 평가등급제를 폐지하고 혁신성 중심으로 과제 선정, 성과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해 ‘실패의 자산화’ 지원
5) 연구비가 제대로 쓰여지는 기반 구축
- 정부 총지출 대비 5% 수준으로 연구개발 예산을 확대하고 적재적소 배분을 위해 투자과정에 AI 등을 확대・도입
- 보다 많은 데이터를 관리(현 1% 수준) 및 공유하여 더 혁신적인 다음 연구로 이어지는 확산 체계 구축
- 지방정부가 스스로 기획집행성과를 책임지는 ‘지역 자율 연구개발’ 체계를 도입하고 지역거점대학의 연구역량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