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2005년 IT수출 780억불 달성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1-03
  • 등록일 2006-01-04
  • 권호
□ 2005년 IT수출 780억불 달성

○정보통신부는 2005년 IT수출이 전년대비 5%증가한 780.2억불로 잠정 집계하였고 발표
○수입은 442.8억불로 337.3억불의 무역흑자를 기록
○이는 2005년 전체 산업 무역흑자인 235.5억불의 143%에 해당하는 수치로 IT가 여전히 우리 경제의 효자 노릇을 한다는 증거

□ 2005년 IT수출 5대 뉴스

①IT수출 성장률 둔화
-2004년 29.9%의 경이적인 성장을 하였던 IT수출은 2005년 성장률이 5.0%로 하락하였는데 이는 메모리 반도체, 휴대전화 등 주력 IT제품의 경쟁심화로 가격 하락세가 지속된 결과 수출단가도 하락하였기 때문이며 아울러 D-TV 등 차세대 수출품목의 부진과 PC·모니터 등 Low-End 제품의 생산공장 이전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됨

②사상 최초로 월간기준 70억불대 돌파
-2005년 10월에는 IT수출이 사상 처음으로 월간기준 70억불을 돌파하여 IT수출 회복을 알리는 신호탄 역할을 하였으며, IT수출은 2003년 9월 50억불대(53.6억불)를 돌파한 이후, 2004년 3월에는 60억불대(62.9억불), 그리고 19개월만인 금년 10월에 70억불대에 도달

③DRAM 감소, 플레시 메모리 약진
-그동안 IT수출을 견인하였던 DRAM은 수출이 감소한 대신, 플레시 메모리가 높은 수출성장세를 보였는데, DRAM은 수요도 늘지 않으면서 가격하락세가 심화되어 IT버블이 붕괴된 2001년 이후 처음으로 (-) 성장을 하였으나, 플레시 메모리는 MP3,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수요가 급증하여 가격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크게 증가

④미국 수출감소, EU약진, 중국 집중도 심화
-상반기 원-달러 환율의 하락으로 대미 IT수출이 감소한 반면, EU·중국 수출이 증가하여 대중국 IT수출 집중도가 심화함

⑤ Low-End 제품 수입 급증
-IT수입은 여전히 IT부품·소재가 중심이나, 2005년에는 PC, 모니터 등 Low-End 정보기기 수입이 급증

□ 2005년 12월 IT수출입 동향
○12월 IT수출은 63.5억불로 전년동월대비 9.1%증가하였고, IT수입은 38.5억불로 25억불의 무역흑자를 기록하였다. 이번달 IT수출은 크리스마스 시즌 등 연말 특수를 위해 10·11월에 집중적인 수출증대로 전월에 비해 다소 감소

□ 2006년 IT수출 전망
○2006년 IT수출은 금년보다 나아져 두자리수 성장률을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2006년 세계 경제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미국의 금리인상, 환율, 고유가 등 대외여건이 불확실하지만 지난해보다는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임
○아울러 반도체, LCD 등의 가격하락세가 진정되고 있으며, 내년 월드컵을 계기로 디지털 TV, DMB 폰의 수출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2006년에는 2005년에 비해 13.2%증가한 883억불 달성이 전망됨
○반도체는 2005년 302.2억불에서 2006년 339억불로 12.2% 증가가 예상되며 D램의 공급과잉 완화에 따른 가격하락세 둔화, 플래시 메모리의 수요처 확대 등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증가율을 보일 전망
○휴대전화는 2005년 246.5억불에서 2006년 273억불로 10.8% 증가가 예상되며 저가 단말기 수요증가, 경쟁심화로 인한 가격하락 등 부정적 요인은 있으나, DMB 등 신규서비스를 지원하는 고성능 단말기에 대한 교체 수요 증가에 따라 10% 수준의 성장이 전망됨
○LCD는 2005년 74.9억불에서 2006년 96.5억불로 29% 증가가 예상되고 디지털 방송의 확대, 원가절감을 통한 LCD TV 가격 대중화, 월드컵 특수로 인한 TV용 패널 중심으로 고성장이 전망됨
○디지털 TV는 2005년 14.3억불에서 2006년 16.9억불로 18.2% 증가가 예상되며 TV가격의 대중가 수준 접근, 월드컵 및 아시아게임 특수 등의 영향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