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2006~07년 지역SW 특화육성사업"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06-01-03
- 등록일 2006-01-04
- 권호
□ "2006~07년 지역SW 특화육성사업" 선정
○ 정보통신부는 차세대 물류 U-Port 사업(부산), RFID·모바일 임베디드SW 기반 위험관제시스템 상용화(대구), 광인터넷 기반의 응용서비스 상용화사업(광주) 등 총 10개의 지역SW 특화육성사업을 선정하여 향후 2년간 지원키로 최종 확정
○ 그동안 각 지자체들은 국가 균형발전전략에 따라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추진하여 왔으며, 정통부 역시 2004년부터 지자체 자율에 의한 지역특화SW 육성을 지원하여 왔다. 하지만 지역별로 3~4개씩의 특화 분야 육성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과 단년도 위주의 사업추진으로 인해 효과적인 지역특화분야 육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
○ 이에 정통부는 지역소프트타운과 지역SW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추진해 온 기존 지역SW진흥사업을 지역 특화SW 육성 위주로 2005.11월 개편하고 지난 12월 지역공모 및 평가를 통해 선정된 지역에 대해 2006년 부터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
○ 개편안의 중심이 되는 지역특화SW 육성사업은 기존 지역별 3~4개의 특화분야육성을 지양하고, 지역별 1특화분야를 공모방식에 의해 선정하여 해당 분야의 수요창출을 위한 2개년 단위의 시범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지역내 특화분야 전문SW기업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향후 2개년 동안 총 151억원이 지원될 예정
○ 이번 지역특화SW 공모심사에서는 지역에서 선정한 특화분야의 적정성과 추진계획의 구체성을 중점적으로 심사하였으며, 이 2가지 기준을 균형있게 제시한 사업이 결과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음
○ 정보통신부는 2005년도를 “SW산업 도약 원년의 해”로 선포하였고, 지난 12월 1일에는 “SW산업 발전 전략 보고회”를 통해 “IT강국에서 SW강국으로”라는 슬로건과 함께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마련하는 등 SW산업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에 추진하는 지역SW 특화육성사업은 이러한 정책비전의 실현을 위한 지역차원의 SW육성전략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음
○ 정보통신부는 차세대 물류 U-Port 사업(부산), RFID·모바일 임베디드SW 기반 위험관제시스템 상용화(대구), 광인터넷 기반의 응용서비스 상용화사업(광주) 등 총 10개의 지역SW 특화육성사업을 선정하여 향후 2년간 지원키로 최종 확정
○ 그동안 각 지자체들은 국가 균형발전전략에 따라 지역특화산업 육성을 추진하여 왔으며, 정통부 역시 2004년부터 지자체 자율에 의한 지역특화SW 육성을 지원하여 왔다. 하지만 지역별로 3~4개씩의 특화 분야 육성을 동시에 추진함으로써 한정된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과 단년도 위주의 사업추진으로 인해 효과적인 지역특화분야 육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계속 제기
○ 이에 정통부는 지역소프트타운과 지역SW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추진해 온 기존 지역SW진흥사업을 지역 특화SW 육성 위주로 2005.11월 개편하고 지난 12월 지역공모 및 평가를 통해 선정된 지역에 대해 2006년 부터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
○ 개편안의 중심이 되는 지역특화SW 육성사업은 기존 지역별 3~4개의 특화분야육성을 지양하고, 지역별 1특화분야를 공모방식에 의해 선정하여 해당 분야의 수요창출을 위한 2개년 단위의 시범사업을 지원함으로써 지역내 특화분야 전문SW기업을 육성하는 사업으로 향후 2개년 동안 총 151억원이 지원될 예정
○ 이번 지역특화SW 공모심사에서는 지역에서 선정한 특화분야의 적정성과 추진계획의 구체성을 중점적으로 심사하였으며, 이 2가지 기준을 균형있게 제시한 사업이 결과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음
○ 정보통신부는 2005년도를 “SW산업 도약 원년의 해”로 선포하였고, 지난 12월 1일에는 “SW산업 발전 전략 보고회”를 통해 “IT강국에서 SW강국으로”라는 슬로건과 함께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마련하는 등 SW산업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에 추진하는 지역SW 특화육성사업은 이러한 정책비전의 실현을 위한 지역차원의 SW육성전략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