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특허청, 공중전화의 탈출구는 과연 어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1-10
  • 등록일 2006-01-11
  • 권호
□ 이동통신 가입자수 3천7백만명(보급률 77.45%)으로 대변되는 국내 이동통신시장의 화려한 성장과 대조적으로 하향일로를 걷고 있는 공중전화의 관련 출원이 계속 감소
○ 특허청에 따르면 1990년대 후반까지 연간 20~30건 정도의 꾸준한 출원세를 유지했던 공중전화 관련 출원이 휴대전화가 대중화 되는 시기인 2000년도를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하여 현재 연간 10여건에도 미치지 못함

□ 반면 출원형태는 다양화되어 2000년 이후 최근까지의 출원들은 유선전화 수요감소에 따른 불황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 공중전화를 음성통화망 및 인터넷과 연결하여 기존 음성통신 외에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키오스크 방식
○공중전화를 인터넷과 연결하여 저렴한 요금의 인터넷전화(VOIP)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
○ 공중전화기에 팩시밀리 기능, 이메일 송/수신기능 및 프린터기능을 복합적으로 결합하는 방식
○ 휴대폰을 공중전화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공중전화망을 활용한 음성통화를 제공하는 방식과 같이 기존의 음성통화기능에서 벗어나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과 연관된 기능을 결합한 방식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송수화기 및 넘버패드로 구성된 일반적 형태에서 벗어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키보드와 모니터까지 갖춘 다양한 형태의 공중전화 단
말기를 선보이고 있음

□ 이렇듯 공중전화는 단순한 음성통화에서 벗어나 IT분야의 대세로 자리잡은 이동통신 및 인터넷과 연계한 생존전략을 치열하게 모색하고 있으나, 이미 상용화된 일부 몇몇 제품의 이용률 저조와 관련업계의 지속적인 적자누적 및 불황으로 인한 공중전화 관련시장의 축소는 관련출원의 감소를 부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임

□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중전화는 기술 첨단화를 앞세워 날로 치열해지고 있는 통신시장 속에서 다양한 변화의 움직임을 통해 다시금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애쓰고 있음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