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결과 발표 결과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1-18
  • 등록일 2006-01-18
  • 권호
□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들은 자체 보유기술 수준을 세계 최고수준의 75.8%로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세계최초 개발기술 보유기업은 9.8%, 일부 선진국에서 개발되었지만 국내에서 최초 개발기술 보유기업은 46.2%로 조사됨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은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를 실시하여 이 같은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발표

□ 이번 조사결과는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13,000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3,416개 기업을 표본 조사
○ 조사항목은 기술개발활동, 기술수준, 기술개발 투자현황, 기술개발성과, 기술개발애로사항 등임
기술개발수행 중소제조업체의 분포를 보면 주로 업력이 10년 정도 되는 성장기 단계의 기업들이 59.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중에서도 전자부품·통신장비업종의 기업이 20.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기술개발수행 중소제조업체들은 자체 보유기술(10가지 기술능력 종합)수준을 세계최고수준과 비교하여 75.8%로 체감

* 10가지 기술능력: 제품기획능력, 디자인능력, 신기술개발능력, 제품설계능력, 부품공정설계능력, 시험검사능력, 제조능력, 생산관리능력, 유지보수능력, 사업화능력

○ 10가지 기술능력별로는 높게는 78.3%의 유지보수능력에서 낮게는 73.0%의 디자인능력까지 모두 70%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국내시장에서는 경쟁력이 있고, 세계시장의 경쟁력에 다소 못 미치는 수준으로 보고 있음

* 기술수준 판단기준 : 100%수준(세계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 80%수준(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국내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 60%수준(세계시장에서 일반적, 국내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술), 50%미만(국내시장에서 범용적인 기술)

○ 보유기술의 신규성은 세계최초 개발기술 보유기업이 9.8% 정도 이고, 일부 선진국에서 개발되었지만 국내에서 최초 개발기술 보유기업이 46.2%로 가장 많았음
○ 기술개발수행 중소제조업의 기술개발투자비율은 ‘04년 기준 매출액 대비 평균 3.58%로 조사되었으며, 투자자금은 대부분 자체조달(81.3%)에 의해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매출액 대비 R&D 비중 : 일반기업(2.14%), 이노비즈·벤처기업(6.18%)

○ 또한 기술개발과정에서 기획단계에서부터 제품화까지 보통 20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기술개발 단계에서 7.7개월로 가장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남


* 기술개발과정 : 기획단계(4.1개월), 개발단계(7.7개월), 시제품제작단계(3.8개월), 제품화단계(4.4개월)

○ 중소제조업의 기술개발 성과는 최근 3년간(‘02~’04) 평균 9.3건의 기술개발을 시도하여 개발에 성공한 기술이 5.7건으로 61.1%의 성공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개발의 성공요인으로써 최고경영자(CEO)의 의지가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응답

○ 이 밖에 기술개발 애로요인으로는 기술개발 인력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금부족과 연구설비 및 기자재부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개발전문인력 부족률을 보면 전체적으로 16.9%의 부족률을 보였는데 그 중 박사가 31.7%, 석사가 22.3%로 고급인력일수록 부족현상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중기청은 이번 기술통계조사보고서를 정부 및 공공기관, 도서관 등에 무료로 배포하여 연구기관, 학계, 정부의 중소기업 기술정책 연구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토록 할 계획

*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보고서는 중소기업청(www.smba.go.kr),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www.kfsb.or.kr)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음

첨부 :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보고서 요약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