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질병예방, 신치료기술 개발 및 신약개발 연구 지원을 위한 한국인 생물자원은행 운영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보건복지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06-02-06
- 등록일 2006-02-07
- 권호
□ 보건복지부는 한국인의 질환관련 유전자의 발굴과 질병예방, 신치료기술 개발 및 신약개발 연구를 지원하며 21세기 맞춤형 개별의료 및 신속 진단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인프라로서의 한국인 생물자원은행 운영
□ “생물자원은행 바이오자원(DNA, 세포, 조직, 혈청, 뇨)의 수집및 관리에 관련된 업무” 프로세스를 국제수준의 규격으로 표준화하여 운영
□ 양질의 자원을 관리하여 질환관련 한국인 생물자원의 국가자원화 및 연구 인프라 공동활용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자 함
□ 인간유전체사업에 의해 밝혀진 인간 유전자지도를 기초로 하여 질환관련 유전자 및 각종 만성질병지표를 발굴하고 이들의 질환발병과의 연관성 규명 등의 유전체연구와 관련된 BT기술 개발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서는 그 직접 재료인 다양한 인간질환 관련 생물자원(DNA, 혈청, 혈액세포와 뇨 등)의 확보가 필수적
○ 한국인 유전체역학 조사사업(2개의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5개의 코호트 사업 포함)과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으로부터 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있으며 보건의료유전체사업의 12개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들로부터 질환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있음
○ 3개의 병원성미생물 유전체연구센터로부터 병원성미생물 생물자원을 수집하고 있음
□ 수집된 자원은 외부연구자, 협력기관 등에 공동연구 등의 형태로 생물자원의 분양 실시
○ 분양과 관련된 양식 및 절차는 유전체센터 홈페이지 (http://www.ngri.go.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문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생물자원은행팀(02-380-2258)
정리 : 정책홍보팀 고윤권(k1917@mohw.go.kr)
□ “생물자원은행 바이오자원(DNA, 세포, 조직, 혈청, 뇨)의 수집및 관리에 관련된 업무” 프로세스를 국제수준의 규격으로 표준화하여 운영
□ 양질의 자원을 관리하여 질환관련 한국인 생물자원의 국가자원화 및 연구 인프라 공동활용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자 함
□ 인간유전체사업에 의해 밝혀진 인간 유전자지도를 기초로 하여 질환관련 유전자 및 각종 만성질병지표를 발굴하고 이들의 질환발병과의 연관성 규명 등의 유전체연구와 관련된 BT기술 개발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서는 그 직접 재료인 다양한 인간질환 관련 생물자원(DNA, 혈청, 혈액세포와 뇨 등)의 확보가 필수적
○ 한국인 유전체역학 조사사업(2개의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5개의 코호트 사업 포함)과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으로부터 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있으며 보건의료유전체사업의 12개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들로부터 질환관련 자원을 수집하고 있음
○ 3개의 병원성미생물 유전체연구센터로부터 병원성미생물 생물자원을 수집하고 있음
□ 수집된 자원은 외부연구자, 협력기관 등에 공동연구 등의 형태로 생물자원의 분양 실시
○ 분양과 관련된 양식 및 절차는 유전체센터 홈페이지 (http://www.ngri.go.kr)에서 확인할 수 있음
문의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생물자원은행팀(02-380-2258)
정리 : 정책홍보팀 고윤권(k1917@moh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