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기상기술 6대 선진국 진입 목표 , 기상예보 패러다임 전환 등 6대 정책목표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기상청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06-02-14
  • 등록일 2006-02-14
  • 권호
기상기술 6대 선진국 진입 목표
-- 기상예보 패러다임 전환 등 6대 정책목표에
-- 3차원 분석시스템 구축 등 19개 과제 추진

□ 기상청은 우리나라의 예보역량을 오는 2010년까지 세계 6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올해 ‘국민이 만족하는 새로운 기상서비스 창출’을 기본 목표로 정하고 기상예보 패러다임 전환, 악기상 대처 능력강화 등 6대 정책목표에 3차원 분석시스템 구축, 3개월 예보제 실시, 인터넷 기상방송국 설립 추진, 국가기상위성센터 및 태풍센터 건립 등 19개 이행과제를 적극 추진키로 함

□ 기상청은 이같은 2006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확정하고 14일 정책브리핑을 통해 새해 청사진 발표

□ 기상청이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정책목표는 △관측표준화 이행을 통한 국가 기상관측 체계 확립 △디지털예보서비스를 통한 기상예보 패러다임 전환 △현상별 대응시간을 차별화한 악기상 대처능력 강화 △지진ㆍ지진해일 즉시 대응을 위한 감시역량 제고 △지구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체계적 대처능력 강화 △민간기상서비스 촉진을 위한 기상산업진흥 추진 등임

□ 기상청은 악기상에 대한 대처능력을 강화키 위해 지상, 해양, 레이더 등 다양한 관측자료의 실시간 융합을 통해 대기구조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3차원 분석시스템을 구축하고 국가태풍센터(남제주군)의 설립 준비와 함께 태풍진로 예측기간을 3일에서 5일로 연장하는 등 태풍예보체계를 개선할 계획
○ 집중호우에 대한 예측능력 증대를 위해 국가기상위성센터(충북 진천군) 설립을 준비하고 대설예측과 관련, 1시간 간격의 수동관측을 10분 간격의 자동관측으로 전환하는 실시간 자동적설 분석시스템도 구축키로 함
○ 특히 신속하고 효율적인 기상상황 전파를 위한 24시간 인터넷 기상방송국 설립을 추진할 방침임

□ 새로운 예보서비스를 통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는 지난해 도입한 기상용 슈퍼컴퓨터 2호기를 활용, 신속 정확한 기상예측시스템을 구축하고 한반도를 5km 격자로 나눠 37000개 예보지점에 대해 정량적이고 상세하게 예측하는 디지털예보를 전면 시행할 예정
○ 짧은 시간동안 좁은 지역에 발생하는 악기상 현상의 사전 대응시간 확보를 위해 특보발령권 조정 등 예보체계를 개편하고 연 4회 발표하던 계절예보를 매월 발표하는 3개월예보제로 전환, 실시키로 함

□ 기상청은 지난해말 기상관측표준화법 제정에 따라 각 부처별로 중복된 관측망(18개 기관, 4600여대)을 조정해 기상관측정보를 국가적으로 공동 활용하기 위한 국가기상관측체계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며 단주지진계 4소 및 지진가속도계 10소를 신설, 내륙 지진관측망을 확충하고 울릉도 남쪽 15km지점(해저 200m)에 해저지진계와 울릉도 지하(100m)에 시추공 지진계 각 1대를 설치, 동해의 지진감시 능력을 제고해 나갈 예정

□ 기후변화 대처능력 강화를 위해서는 현 지구대기감시관측소(안면도)를 우리나라 온실가스감시 중앙분석센터로 지정 운영하고 제주도 고산에 지구대기감시소를 신설할 방침이며 기상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기상대별로 지역특화산업에 적용할 맞춤형 기상서비스를 발굴하고 ‘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운영으로 기상산업 진흥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
○ 국제사회에서의 역할 제고를 위해 오는 2007년 개최예정인 제4차 GEO(지구관측그룹) 총회를 우리나라에 유치하고 기상과학문화의 대중화와 재해예방의식의 함양을 위해 기상과학관을 건립키로 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의 2006년도 주요업무계획 참고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