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소서비스업 지식기반화 수준 낮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06-03-03
  • 등록일 2006-03-08
  • 권호
□ 지식기반 사회로 진전 되면서 전통적 생산요소인 노동 및 자본외에 지식이 기업경영에 있어 중요한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중소서비스업 전체의 지식기반화 지수(SMBK Index) 평균은 52.14(최대값=100 기준)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중소기업청(청장 김성진)은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지식기반화 수준에 대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혀짐


* 지식기반화 지수는 중소기업의 지식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중소기업청과 산업연구원(원장:오상봉)이 공동으로 개발한 산업의 지식경영 수준과 무형의 지식자산 축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수
* 지식기반화 지수는 전략, 조직, 인력, 정보화, 고객 등 5개 경영부문 구성요소에 대하여 지식경영활동과 지식자산 축적 수준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

* 조사대상 : 상시종업원수 10~299인의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업체 6,452개


□ 특히 이번 조사결과 지식경영활동(제도, 시스템의 도입)과 지식자산 지수의 상관관계가 높아 중소서비스 기업들이 지식경영을 도입함으로써 무형의 지식자산을 축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중소서비스업에 지식경영 확산을 통해 지식자산 축적을 유도하여 서비스업의 지식기반서비스업으로의 전환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부문별로는 정보화 및 고객부문에서는 타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략, 조직, 인력은 평균치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

○ 지식기반화 수준이 높은 업종은 금융업(65, 이하 산업분류), 정보처리 및 기타 컴퓨터 운영 관련업(72), 영화,방송 및 공연산업(87)등

○ 반면 숙박 및 음식점업(55), 부동산업(70), 하수처리, 폐기물처리 및 청소관련업(90) 등은 지식기반화 수준이 낮은 업종으로 나타남

□ 지식경영을 통해 업무추진 시간의 단축이나 사내 포럼 활성화를 통한 직원제안의 증가 및 지식확산비용의 감소, 시행착오 감소, 브랜드 가치 향상 등의 성과를 얻을 수 있음

이러한 기업차원에서의 효과는 해당 산업의 경쟁력향상, 나아가 국가의 부가가치 상승, 소득향상, 신산업 창출 등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됨

중소기업청은 이번의 SMBK 지수 개발을 계기로 중소기업의 지식경영 지원과 지식기반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중소기업 지식경영 DB(www.smbakm.go.kr)’를 구축하였으며,

이 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주요 업종별로 특화된 중소기업 지식경영 방법론 개발·보급 및 쿠폰제 경영 컨설팅과의 연계 등 다양한 정책개발을 강화해 나갈 계획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