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한국 산업의 국제경쟁력 패턴 변화와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06-03-03
  • 등록일 2006-03-08
  • 권호
○ 수출입단가와 물량을 이용하여 한국 제조업의 국제경쟁력 패턴을 살펴본 결과, 가격경쟁력에
의존한 무역흑자 비중은 줄어드는 반면, 기술경쟁력에 의존한 무역흑자 비중은 늘어나 기술지향
적 경쟁력의 향상이 진전됨.

○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독일의 국제경쟁력 패턴은 기술경쟁력에 기초한 무역흑자의 비중이 가
격경쟁력에 기초한 무역흑자의 비중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속됨.

- 산업별로 한국과 독일의 경쟁력 패턴을 보면 정보통신과 선박의 경우는 한국이 독일보다 우월하
나, 자동차와 부품·소재에서는 한국이 취약

○ 한국의 대일본 경쟁력 패턴은 기술경쟁력 열위에 기초한 무역적자의 비중이 압도적인 반면, 대
중국 경쟁력 패턴은 기술경쟁력 및 가격경쟁력에 기초한 무역흑자의 비중이 높고 크기도 비슷함.

- 우리나라의 일본과 중국에 대한 경쟁력 패턴의 특징은 부품·소재산업에서 극명하게 드러남.

○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부문으로의 기술드라이브를 강화하여 산업 및 무역구조의 고도화를 지
속적으로 추진하고 국제분업구조에서 선진국과 개도국의 틈새에 낀 넛크래커적 위상을 극복해야
함.

- 기술사다리(technology ladder)에 입각한 로드맵을 바탕으로 산업부문의 발전단계에 따라 고급
기술과 중급기술의 조화로운 발전을 유도

배너존